2일(현지시간) CNN 등에 따르면 FBI는 “인터넷 스트리밍과 안면인식 기능을 갖춘 스마트TV가 해킹에 취약할 수 있다”며 블랙 프라이데이 전 소비자들에게 이같은 내용을 담은 메시지를 보냈다.
FBI는 일부 제품의 보안 취약성을 경고하며 해커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된 스마트TV의 카메라·마이크를 통해 이용자를 감시하고 개인정보를 빼가는 등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FBI는 “악의적인 사이버 인물이 보안이 약한 스마트TV를 통제하고, 의심도 하지 못하는 소유주에게 큰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스마트 TV가) 채널 혹은 음량을 바꾸거나 자녀들에게 부적절한 동영상을 보여줄 수도 있다. 최악엔 침실 TV 카메라와 마이크를 켜고 조용히 사이버 스토킹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FBI는 스마트TV 해킹을 막기 위해 기기 보안설정 방법을 사용자 스스로 익히고, 제조업체가 임의로 설정한 기본 네트워크 암호를 변경할 것을 권유했다. 또 마이크와 카메라 기능을 비활성화할 것을 권유하며 “만일 스마트TV가 카메라 비활성화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검정색 테이프를 렌즈에 붙여놓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영국 정보기관 출신인 사이버보안 전문가 매트 테이트는 “소비자들이 스마트TV 제조사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재빨리 설치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며 “첨단 스마트 기능을 원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을 끊어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소설희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