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이달 말 중국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한국과의 정상회담을 조정하고 있다고 3일 밝혔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유예로 숨 고르기에 들어간 양국이 정상회담을 계기로 갈등 해결의 돌파구를 마련할지 주목된다.
일본 교도통신은 이날 아베 총리가 정부·여당 회의에서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을 비롯해 중·일 및 한·일 정상회담을 갖기 위해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한·중·일 정상회담은 오는 23~25일 중국 청두에서 개최된다.
한·일 정상회담이 성사될 경우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지난해 9월 유엔총회 이후 첫 정상회담을 갖게 된다. 일본은 지난해 10월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우리 정부와의 만남을 거부해 왔다. 두 정상은 지난달 4일 태국 방콕에서 만났지만 ‘환담’ 수준에 그쳤다.
정상회담이 열린다면 양 정상은 경색된 양국 관계를 풀기 위한 시도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특히 한·일 갈등의 근원인 강제징용 배상 문제를 두고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눌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날 다키자키 시케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최근 문희상 국회의장이 내놓은 강제징용 피해자 지원 방안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져 정상회담 전까지 양국이 이견을 좁히는 데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한편 일본은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한 ‘군함도 등 근대산업시설’ 관련 두 번째 후속 조치 이행경과보고서에서도 강제징용 관련 내용 및 조치 사항 등을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은 2015년 군함도 등 메이지 시대 산업시설 23곳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일부 시설에서 한국인의 강제 노역 사실을 인정하고 이들을 기리는 정보센터를 설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이번에 제출된 보고서는 2017년 보고서와 비교해 진전된 내용이 없다”며 “세계유산센터에 일본이 권고사항을 충실히 이행하지 않은 데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충실한 후속조치 이행을 촉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손재호 이상헌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