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원우 민주연구원 부원장(전 청와대 민정비서관) 산하 특별감찰반원으로 활동했던 A수사관 사망 뒤 검찰과 경찰의 갈등이 격화하고 있다. 검찰이 A수사관의 휴대전화 등 압수수색을 서두른 데는 경찰에 대한 불신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반면 경찰은 정확한 사인 규명을 하기도 전에 검찰이 증거를 가져간 일 자체가 적절하지 못하다며 반발하고 있다.
김종철 서울 서초경찰서장은 3일 전날 서울중앙지검의 서초서 압수수색 관련해 입장을 내놨다. 김 서장은 검찰의 압수수색이 자신이 과거 청와대에서 파견근무를 한 이력과 연관있다는 언론 보도에 “소설이고 황당한 억측”이라며 법적 조치를 하겠다고 주장했다. 김 서장은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에 근무한 사실은 있으나 국정기획상황실 치안팀은 세간에서 제기하는 의혹과는 전혀 무관한 부서”라고 설명했다.
검찰은 지난 2일 서초서를 압수수색 해 1일 극단적 선택을 한 A수사관의 휴대전화와 유서 등을 가져갔다. 청와대의 김기현 전 울산시장 하명 수사 의혹을 밝히는 데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이번 압수수색을 두고 김종철 서초서장의 과거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 파견근무 이력이 검찰의 판단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과거 청와대 민정비서관실에서 특감반원으로 활동했던 A수사관의 휴대전화는 청와대 인사 등 사건관계인과의 통화내역이 있을 수 있는 만큼 검찰이 직접 휴대전화 분석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A수사관은 서울중앙지검 출석을 앞두고 서울 서초구 지인 사무실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대검 예규와 영장에 기재된 피압수자의 권리에 따라 검찰에 포렌식 참여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A수사관의 휴대전화는 대검찰청 디지털포렌식센터에서 분석을 진행 중이다. 검찰 관계자는 검·경 합동포렌식에 대해 “암호를 푼 이후 경찰이 포렌식에 참관할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를 두고 양측이 일종의 기싸움을 벌이고 있는 걸로 보는 시각도 있다.
경찰 내부는 압수수색에 여전히 격앙된 분위기다. 사전협의를 거치거나 지휘검사를 통해 협의하는 방법이 있는데도 기습적으로 사건의 핵심증거를 가져갔다는 이유에서다. 경찰 관계자는 “각 기관의 권한을 존중하며 업무를 해야 하지 한다”며 “검찰의 역할만 중요하고 경찰의 역할은 중요하지 않다는 건가”라고 말했다.
조효석 박상은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