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다보스포럼,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 개소 위해 손잡았다

입력 2019-12-03 11:42 수정 2019-12-03 15:07
2017년 10월 개최된 WEF·KAIST 라운드 테이블. KAIST 제공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개발·연구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다보스포럼’이라 불리는 세계경제포럼(WEF)이 손을 잡았다.

KAIST는 오는 10일 KAIST 대전 본원에서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Korea Policy Center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PC4IR)’의 개소식을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개소식에는 무라트 손메즈(Murat SÖNMEZ) WEF 4차산업혁명센터장, 저스틴 우드(Justin WOOD) WEF 아시아태평양 지역정책국장, 쉴라 워렌(Sheila WARREN) WEF 4차산업혁명센터 블록체인·분산원장기술 소장 등 WEF 핵심 인사들을 비롯해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 국내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할 계획이다.

무라트 손메즈 센터장을 포함한 참석자들은 이날 ‘4차산업혁명 시대 글로벌 리더로의 도약’을 주제로 리더십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할 예정이다.

참석자들은 이 자리에서 기술이 가져올 새로운 규제 문제, 혁신 생태계 조성 및 공동 번영을 위한 논제 등에 대해 토론한다.

KPC4IR은 WEF와 KAIST의 파트너십 아래 출범하는 연구센터다.

센터는 향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갈 혁신 생태계 구축과 함께 공동연구·정책개발을 주도하는 글로벌 협력 플랫폼의 역할을 맡게 된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이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종 영역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선제적으로 예측하고, 관련 정책 및 기술을 공동으로 설계하는 과제도 수행한다.

KPC4IR의 설립 논의는 지난 2017년 중국 대련에서 개최된 WEF 하계 다보스포럼에서 시작됐다.

당시 KAIST가 주도한 ‘아시아 4차산업혁명센터 라운드테이블’에서 신성철 KAIST 총장과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 WEF 회장이 중장기적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한 뒤, 이듬해 4월 방한한 슈밥 회장이 문재인 대통령과 만나 협력 의지를 피력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과기부를 중심으로 WEF가 설립한 샌프란시스코 4차산업혁명센터와의 공동연구 사업을 기획하고 KAIST를 협력 추진 기관으로 지정했다.

KAIST는 WEF 4차산업혁명센터와 협력해 ‘4차산업혁명지능정보센터’를 설립, 주요 기술에 대한 모니터링과 정책 개발을 진행했다.

KPC4IR 소장을 맡은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는 “센터 출범을 계기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사회·경제적 이슈를 선제적으로 연구하고 정책 개발에 앞장서는 글로벌 리더의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신성철 KAIST 총장은 “KPC4IR은 단순한 싱크탱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각과 행동이 공존하는 장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WEF와의 긴밀하게 협력해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정밀의료 분야에서 인간 중심의 4차 산업혁명을 실현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