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은 ‘고교 공유캠퍼스’를 내년부터 3∼4곳을 시작으로 시범운영 하겠다고 2일 밝혔다. 2024년까지 25개 자치구에 각각 1곳 이상씩 마련할 계획이다. 내년 시범운영 대상은 11일까지 공모를 거쳐 13일 공개하기로 했다.
교육청은 공유캠퍼스 참여학교에 평균 1억7000만원씩 지원할 방침이다. 공유캠퍼스는 같은 자치구 내에 학생들이 30분 내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의 일반고와 자율형공립고(자공고) 3∼5곳이 수업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캠퍼스 소속 학교들은 ‘사회교과 특성화 학교’나 ‘소프트웨어교과 특성화 학교’와 같이 교과특성화학교로 지정된다. 자신 있는 교과를 특성화한 교육 과정을 운영하게 되는 셈이다. 각 학교가 단과대처럼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게 교육청의 설명이다.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선택과목 수업을 듣기가 전보다 수월해진다. 교에 듣고 싶은 과목이 개설되지 않는다면 이웃 학교에 가면 된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이 적은 ‘소인수과목’ 수업을 개설하기도 쉬워진다. 학생들의 ‘교육과정 선택권’이 크게 강화될 거라는 게 교육청의 인식이다.
서울시교육청은 현재 ‘연합형 선택교육과정’이라는 제도를 운용하고는 있다. 다만 이 제도는 방과 후 활동 때나 주말에 공유수업이 진행되는 방식이다. 공유캠퍼스는 정규수업 시간에 실시되는 게 차이점이다. 2015 개정교육과정 도입으로 학생들은 문·이과 계열에 상관없이 다양한 선택과목을 선택해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여러 선택과목 수업을 개설하기엔 전문성을 지닌 교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수강생이 적은 수업은 상대평가로는 성적 매기기가 어렵다는 등의 문제도 있다. 이 때문에 실제 선택과목 개설이 활발한 상황은 아니다.
교육청 관계자는 “공유캠퍼스는 2025년 전면 시행될 고교학점제에 대비하는 ‘징검다리’ 역할을 할 방안”이라면서 “학점제가 잘 시행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