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충북 청주에서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에너지센터(조감도)가 주민과 시민단체 등의 반발에 부딪쳐 난항을 겪고 있다.
2일 SK하이닉스에 따르면 청주시 흥덕구 테크노폴리스 3차 개발지구 내 5만4860㎡ 터에 건립될 예정인 스마트에너지센터는 설비용량 585㎿ 규모의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소로 오는 2023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주민설명회와 공청회에서 나온 주민의견을 반영해 이달 중 산업통상자원부에 환경영향평가서 본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하지만 건립 예정지 주민과 도내 시민단체가 환경오염과 건강 위협을 이유로 발전소 건립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한 충북시민대책위원회는 이날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SK하이닉스의 청주 LNG발전소 건설 추진과 관련해 충북도에 명확한 입장을 밝혀 달라고 촉구했다.
도내 30개 단체로 이뤄진 대책위는 “SK하이닉스 환경영향평가서 초안과 공청회 과정에서 LNG발전소 건설에 따른 환경 피해가 밝혀진 만큼 충북도가 ‘입장 없음’, ‘권한 없음’으로 일관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충북도는 주민의 의견을 대변해 주민 건강과 환경을 지키는 역할을 할지, 기업의 이익을 대변하는 지자체로 전락할지 명확히 해야 한다”고 전했다.
대책위는 또 충북도 경제통상국을 대상으로 한 도의회 행정사무 감사에서 “거기 아파트 주민 몇 사람 때문에 도의 경제가 흔들려야 되느냐”며 LNG발전소 건설 추진을 요구한 더불어민주당 박문희 도의원에 대해 함량 미달이라고 성토했다.
대책위는 박 의원이 당시 “LNG발전소 짓는데 (충북도가) 도움을 주기로 했으면 해줘야 하는 게 맞다”고 발언한 데 대해 “충북도와 SK하이닉스 사이에 모종의 거래가 있었던 게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SK하이닉스 측은 청주발전소를 가동하면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국내 최고 수준의 저감 기술을 도입해 운영할 방침이다. 또 저감 대책에도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에 대해서는 청주시 전체 오염물질 저감 정책 사업을 지원한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지역사회와 진정성 있는 소통과 갈등 해소를 위한 상생협의회를 발족할 것”이라며 “외벽 배출물질 모니터링 현황판 운영 및 자문 등 지역주민 참여형으로 스마트에너지센터를 투명하게 운영하겠다”고 전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