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우울증 환자가 4년 만에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바른미래당 이태규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대 우울증 환자는 지난해 9만8434명으로 2014년 4만9975명에 비해 97% 급증했다. 10대 우울증 환자도 2만3885명에서 4만2535명으로 78%나 증가했다.
이 기간 전체 우울증 환자는 58만8155명에서 75만1930명으로 28% 늘어났으며 10대와 20대의 증가 폭이 컸다. 연령별로 60대가 13만3712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12만9255명), 70대(12만1193명), 20대(9만8434명), 30대(9만3389명), 80세 이상(5만6431명) 순이었다.
조울증 환자의 경우 2014년 7만5616명에서 지난해 9만4129명으로 24% 증가했으며 지난해에는 20대가 1만745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1만7114명), 30대(1만6388명), 50대(1만5715명), 60대(1만1795명), 70대(8427명), 80세 이상(6885명) 순이었다.
이태규 의원은 “우울증 등으로 인한 사망이 청소년들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만큼 국가적 대책과 범사회적 고민이 필요하다”며 “20대 우울증·조울증 환자 급증은 학업, 취업 등 사회구조적 환경에서 비롯된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 불공정한 사회구조에 대한 성찰적 고민과 대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김지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