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이 뇌물수수 혐의 등으로 지난 27일 구속되면서 그에 대한 청와대 감찰 무마 의혹 수사에 탄력이 붙게 됐다. 이제 검찰의 칼날은 감찰을 중단시킨 ‘윗선’과 유 전 부시장과 수시로 접촉하며 금융권 인사에 개입한 청와대나 여권 핵심 인물들을 정조준할 전망이다.
검찰은 청와대와 여권 핵심 인사들이 유 전 부시장과 문자를 나누며 금융권 인사에 개입한 과정을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모두 지난 2017년 청와대 특감반의 감찰 과정 중 휴대전화 포렌식 결과 유 전 부시장과 텔레그램(비밀 메신저)을 자주 주고받으며 금융위 인사에 대해 논의했다고 지목된 인물들이다. 모두 현 정권의 실세로 분류되며, 일부는 내년 4월 총선 출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유 전 부시장은 그 중 한 사람과 이번 검찰 수사를 전후로 집중 통화했다는 의혹도 나온 상황이다. 검찰은 조만간 이들을 소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복수의 전직 특감반원들도 “유 전 부시장과 텔레그램을 주고받은 청와대와 여권 인사들이 금융위 등 인사에 개입한 결과가 나왔다”고 일관된 주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유 전 부시장에 대한 청와대 감찰 당시 민정수석이었던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소환도 불가피하다. 일부 전직 특감반원들은 최근 검찰 조사에서 조 전 장관 지시로 감찰이 중단됐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수사가 진행될수록 조 전 장관이 지난해 12월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유 전 부시장의 비위 의혹에 대해 “근거가 약하다. 프라이버시 문제”라고 말한 것도 설득력이 떨어지고 있다. 야당 관계자는 “조 전 장관이 지난해 말 청와대 민정수석 시절 국회 운영위를 앞두고 유 전 부시장 감찰 무마 사건이 본인의 가장 큰 아킬레스건이 될 것을 우려했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유 전 시장이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 재직 당시 금융위 부위원장이었던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차관은 특감반으로부터 유 전 부시장의 비위 첩보를 통보받고도 별다른 징계 조치를 내리지 않고 그의 사표를 수리해 조사 대상에 올랐다. 검찰 조사는 국회 일정을 고려해 여의도 모처에서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도 조만간 조사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