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 정상화에 청신호가 켜졌다. 학교 법인 이사회의 강동완 총장 해임이 정당하다는 교육부 교원소청심사위 결정이 나왔다.
이로써 조선대는 학교운영을 1년 가까이 혼란 속으로 몰아넣은 전임 총장 거취 문제를 매듭짓고 다음 달 민영돈 신임 총장 취임식을 치를 수 있게 됐다.
조선대는 제17대 총장 취임식을 계기로 그동안 ‘사분오열’된 구성원들의 화합과 학교운영 정상화에 총체적으로 나선다는 계획이다.
앞서 교육부 사학분쟁조정위는 지난 25일 임시이사가 파견된 조선대의 정이사 체제 전환을 결정했다. 임시이사는 학교운영에 통상적 업무수행에 그치지만 정이사는 재산처분과 학교 통폐합 등 굵직굵직한 권한 행사가 가능하다.
신임 민영돈 총장은 지난달 1일 4명의 후보가 출마한 직선 투표에서 58.7%의 압도적 득표로 당선됐다. 그런데도 강 전 총장 측의 소청위 이의제기로 취임식조차 하지 못하는 등 발목이 묶여왔다.
조선대는 “교원소청위가 강 전 총장이 낸 직위해제 처분 최소 청구를 기각했다”고 28일 밝혔다.
소청위는 27일 소청을 제기한 강 전 총장과 변호인단, 박관석 학교 법인 조선대 이사장과 실무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위원들의 질의와 답변 등 소청절차를 진행했다.
이어 28일 오전 10시쯤 강 전 총장의 해임이 정당하다는 최종 결과를 양 측에 통보했다.
소청위원들은 “대학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 강 전 총장의 거취가 걸림돌이 돼서는 안된다”는 논리에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부에는 강 전 총장과 박관석 이사장 등의 사소한 자리다툼이나 학내 권력싸움 차원으로 비쳐질 수 있으나 지역사회 여론과 시민정서가 조선대 안정화를 간절히 원하고 있다는 데 대부분 소청위원들이 공감했다는 것이다.
교원소청위는 1시간30여분간의 난상토론 끝에 2만여명의 학생들이 재학 중인 조선대의 안정화를 위해 최종 청구 기각 판단을 내린 것으로 파악됐다. 보통 건당 20분~30분 걸리던 소청안건에 비해 3배 오랜 시간이 걸려 고심 끝에 내린 결정이라는 것이다.
조선대는 이에 따라 29일 이사회에서 한 달 넘게 지연돼온 총장 임명 수순을 밟는다. 신임 총장은 12월 중순 취임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선대 이사회는 지난해 6월 대학 기본역량 진단에서 ‘자율개선대학’에서 탈락하는 등 저조한 평가를 받자 그 책임을 물어 ‘자진사퇴’ 의사를 표명한 강 총장을 지난 3월 해임했다.
하지만 강 총장은 당초 사퇴의사를 번복한 뒤 소청위에 이의를 제기했다.
당시 소청위는 절차적 문제와 해임 사유가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해임처분을 취소하도록 조선대에 통보했다. 학내 구성원은 물론 광주시민들의 여론을 외면한 결정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조선대는 이후 강 전 총장이 업무복귀에 나서자 같은 해 9월 징계위원회를 열어 강 총장 해임을 다시 결정하는 등 절차를 보완했다. 또 총장 해임을 재의결해 이례적으로 동일한 사안에 대한 두 번째 소청 심사가 열리게 됐다.
결국 ‘해임처분’이 부당하다고 통보한 소청위마저 수개월만에 총장 해임이 정당하다는 상반된 결정을 내림에 따라 강 전 총장은 설 땅을 잃게 됐다.
강 전 총장은 교원소청위와 별도로 지난달 총장 선거가 ‘불법선거’라며 총장선거중지 가처분을 신청을 내는 등 법적 투쟁도 벌이고 있다.
하지만 강 전 총장의 손을 들어준 첫 번째와 달리 두 번째 소청위 심사에서 강 전 총장 소청이 기각돼 조선대는 학사운영의 최고 책임자인 총장 공석 상황을 벗어날 공산이 커졌다.
조선대는 1946년 7만2000여명이 참여한 조선대 설립동지회가 주축이 돼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민립대학’으로 출범했다. 이 대학은 신임 총장 취임식을 마치면 정이사 후보자 명단과 정상화 계획을 교육부 사분위에 제출하는 것을 시작으로 정상화에 돌입한다는 입장이다.
조선대 관계자는 “상식을 존중한 소청위 결정에 따라 꼬인 실타래를 풀 수 있게 됐다”며 “금명간 임시이사도 정이사로 전환되는 만큼 학교 정상화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