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합계출산율이 사상 처음 1명 미만으로 나타나는 등 대구·경북이 인구 절벽 위기에 봉착했다. 떨어지는 출산율에 청년 유출까지 겹치면서 지방 소멸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8일 동북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 합계출산율은 0.99명으로 전년(1.07명) 대비 7.2% 감소했다. 합계출산율은 가임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로 인구 유지에 필요한 합계출산율을 2.1명 정도로 보고 있다. 대구에서 합계출산율이 1명 밑으로 떨어진 것은 2008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처음이다. 경북의 합계출산율도 전년(1.26명) 대비 6.8% 감소해 1.17명을 기록했다. 낮은 결혼율과 높은 이혼율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 올해는 합계출산율이 더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청년 유출도 심각한 상황이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대구시민 1만6500여명이 다른 도시로 떠났는데 이 중 20·30대가 8000여명으로 절반에 달했다. 같은 기간 경북에서는 20·30대 청년 1만여명이 고향을 떠났다. 경북의 경우 23개 시·군 중 4곳(구미·경산·칠곡·포항)을 제외하고는 모두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특히 소멸고위험지역(전국 16개)에 경북 기초단체 7곳이 이름을 올려 인구 감소가 심각한 지역이라는 불명예를 얻게 됐다.
이에 대구와 경북은 출산율 높이기와 청년 인구 유출 방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경북도는 올해 청년정책관과 인구정책과를 신설했다. 또 같은 처지인 전남, 강원, 충북 등과 각종 세미나 등을 통해 해결 방안을 찾고 있다. 이 과정에서 지방 소멸 문제가 가장 심각한 경북과 전남이 함께 이를 막을 수 있는 법 제정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대구도 지역 신혼부부들을 위한 전세자금 대출상품 검토, 전국 최초 다자녀 가정 도시철도 무료 이용 혜택, 육아휴직 공무원 실적가산점 등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으며 청년 일자리 창출사업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구 회복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인구 감소가 경제 문제, 사회 분위기 등에 영향을 받는 국가적인 사안이라 지방자치단체 힘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최근 인구 문제가 지방의 가장 큰 화두가 됐다”며 “지자체 혼자 힘으로 극복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다른 지역과의 연대, 정부 대책 요구 등을 통해 길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