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전북지역 모든 체류자에게 전북 도민증이 발급되고 각종 혜택이 주어진다. 지역의 인구 소멸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책으로 성과가 주목된다.
전북도는 이같은 내용을 뼈대로 한 인구늘리기 대책을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시행하겠다고 27일 밝혔다.
‘제2 고향 만들기’로 명명된 이번 대책은 그동안 출산 장려와 출향 행렬 억제에 초점이 맞춰진 소멸위기 극복정책을 인구유입까지 확대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이에 맞춰 거주자 중심의 행정 서비스도 체류자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전북도는 먼저 전북에 직장과 학업 등의 이유로 일정기간 머무는 사람에게 모두 가칭 ‘제2 도민증’을 발급해주기로 했다. 도민증 소지자에겐 박물관이나 체육관과 같은 공공시설 이용료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을 줄 예정이다.
전북도는 또 출향인들을 상대로 고향 회귀 유도정책도 펼치기로 했다. 도는 지역을 떠나 사는 출향인이 현재 전북의 인구와 비슷한 180만명에 이른다고 추산하고 귀향 희망자들을 종합 지원할 가칭 ‘JB 고향회귀센터’를 서울에 세우기로 했다.
도는 현재 농어촌 정착에 초점이 맞춰진 귀농귀촌 유도정책을 전주와 군산·익산 등 도시 지역까지 확대하고, 업종도 상업과 서비스업 등까지 포함해 확대키로 했다.
더불어 청년층에겐 전북 정착금을 지원키로 했다. 도내 중소기업이나 문화예술계 등에서 1년 이상 재직중인 저소득층 청년들에게 월 30만 원씩 12개월간 정착 장려금을 지원하겠다는 안이다. 또 가칭 ‘전북 청년정책 종합센터’도 구축해 청년층 전북 이주를 유도하고 탈 전북도 억제키로 했다.
도는 26일 도청 종합상황실에서 ‘인구정책 민관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인구정책 중점 추진사항과 2020년 추진방향 등을 논의했다.
도 관계자는 “출산 장려책이나 출향행렬 억제책만으론 인구 늘리기에 한계가 있다는 전문가들 판단아래 보다 강력한 인구 유입책을 검토했다”며 “도내 체류자와 도외 출향인들을 모두 ‘전북도민’으로 만드는데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8월말 현재 전북의 주민등록 인구는 182만 3982명이나 조만간 180만명 선이 무너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더욱이 앞으로 15년간(2020~35년) 도내 전역에서 저출산 고령화와 생산가능 인구 감소 문제는 한층 더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고령 인구(65세 이상)는 연평균 3.41%포인트씩 증가하는 반면 유소년(0~14세)은 1%포인트씩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체류자도 도민처럼 우대” 전북도 인구 늘리기 잰걸음
입력 2019-11-27 15:30 수정 2019-11-27 1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