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이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주장을 정면 반박했다.
하 의원은 27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어설픈 궤변으로 조국 사태 판 키운 유 이사장이 유재수 감찰 무마 사건에 개입했다. 이제 유재수 건도 판 커질 일만 남았다”며 “이번에도 유 이사장은 국민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고 비꼬았다.
하 의원은 “유 이사장은 조 전 민정수석이 유 전 부시장의 뒤를 봐줄 이유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 주장대로라면 감찰을 무마시킨 사람은 유재수가 청와대를 근무한 사실도 알고, 개인적으로 친분도 있어야 한다”며 “청와대에 그 기준에 부합하고 민정수석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이 딱 한 분 있다. 유재수가 사석에서 형이라고 부를 정도로 가까웠다고도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청와대 인사의 실명을 구체적으로 거론하진 않았다.
하 의원은 이어 유 전 부시장 감찰 무마 의혹을 “심각한 국정 농단 사건”으로 규정했다. 그는 또 “청와대 감찰 중단은 흔한 비리가 아니다. 국가의 기강과 정권의 근간을 뒤흔들 수 있는 국정농단 사건”이라며 “윤석열 검찰이 다시 한번 힘을 내 진실을 밝혀주길 바란다”고 했다.
앞서 유 이사장은 전날 노무현재단 유튜브 ‘유시민의 알릴레오’에서 “취재한 바에 따르면 조국 전 민정수석과 유재수씨는 아무 관계도 없다. 일면식도 없다”며 “유씨가 참여정부 때 파견근무를 장기간 했던 것도 조 전 수석은 몰랐다. 둘이 통화한 적도 없고, 전화번호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건 검찰도 알고 있다. 조 전 수석을 잡기 위해 (유 전 부시장과 엮어서) 볼륨을 키우려는 것 같다”고 추측했다.
유 이사장은 유 전 부시장 감찰 무마 의혹에 대해 “당시 감찰 과정에서 골프채, 항공권 등이 문제가 됐지만 많은 액수는 아니었고, 시기 문제도 있어서 박형철 청와대 반부패비서관, 백원우 전 민정비서관, 조 전 수석 3명이 회의를 해서 ‘비교적 중한 사건은 아닌 것 같다’고 합의가 돼서 종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준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