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아세안 지역 최초의 완성차 생산기지를 인도네시아에 짓는다. 아세안 최대의 자동차 시장인 인도네시아를 교두보로 삼아 성장 잠재력이 높은 동남아시아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현대차는 26일 오후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이원희 현대차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인도네시아 정부와 현지 공장 건설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현대차 공장은 수도 자카르타에서 동쪽으로 약 40㎞ 떨어진 브카시 시 델타마스 공단 내 77만6000㎡ 부지 위에 건립된다. 다음달 착공해 오는 2021년 말 15만대 규모로 가동되는 인도네시아 공장의 생산 능력은 향후 최대 25만대로 계획돼 있다. 현대차그룹은 오는 2030년까지 제품 개발 및 공장 운영비로 15억5000만 달러(약 1조8000억원) 가량을 투자할 예정이다.
현대차가 투자를 결정한 것은 세계 자동차 시장의 성장세가 꺾인 가운데 신시장 개척을 통한 성장 동력 확보가 절실했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2017년 아세안 시장 공략을 위한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3년이 넘는 시간을 들여 면밀한 시장 조사를 진행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아태권역본부도 신설했다.
아세안 최대 자동차 시장인 인도네시아에선 지난해 약 115만대의 자동차가 판매됐으며 연 5%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 아세안 주요국 자동차 시장은 2017년 약 316만대 수준에서 2026년 약 449만대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세안 지역은 국가별로 5~80%의 자동차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자국 자동차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비관세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현대차는 우선 아세안 자유무역협약(AFTA)에 따라 부품 현지화율이 40% 이상일 경우 역내 완성차 수출 시 무관세 혜택이 주어지는 이점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현대차가 인도네시아 공장에서 생산하는 차종은 아세안 전략 모델로 신규 개발하는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소형 다목적차량(MPV), 아세안 전략 모델 전기차 등이 검토되고 있다.
아세안 지역에서 안정적인 제품 개발, 생산, 판매 체제를 조기에 구축하기 위해 현대차는 차별화 방안을 마련했다. 제품 개발의 경우 철저히 아세안 전략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위해 사전에 별도 조직을 구성하는 등 본사와 인도네시아 현지 간 상품개발부터 양산까지 긴밀한 협업 체계를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생산, 판매 체계도 고객 중심으로 혁신적인 방식을 도입한다. 소비자의 주문을 받아 제품을 생산하는 ‘주문 생산 방식’, 소비자가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 등 다양한 경로를 넘나들며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옴니 채널)를 선보일 계획이다.
정 수석부회장은 “현대차의 현지 공장 설립은 인도네시아 정부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을 바탕으로 이뤄낸 성과”라면서 “인도네시아 정부의 친환경차 정책에 적극 부응하고 아세안 지역 발전에 지속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