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고 폐지 물결에 ‘자율중’도 전환 추진… 농어촌학교 존폐 위기

입력 2019-11-26 16:33 수정 2019-11-26 18:28
외국어고와 자율형사립고 등의 폐지 물결에 따라 전국 또는 광역 단위로 학생을 모집하는 자율중학교도 일반중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들 학교가 대부분 농어촌에 있어 향후 신입생 모집에 큰 어려움을 겪으며 존폐 위기에 놓일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전북도교육청은 전국 또는 광역 단위로 학생을 모집하는 도내 자율중의 선발지역을 2025년부터 학군내로 한정 전환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도교육청은 교육부가 외고·자사고 등의 설립 근거를 삭제한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안을 27일 입법 예고하면 이에 맞춰 이들 자율중의 선발지역을 수정할 예정이다. 도교육청은 “특권을 없애겠다”며 이같은 의견을 교육부에 전달했다.

현재 전국 혹은 광역단위 모집 자율중은 전북에 6개교(군산 회현중, 남원 용북중, 완주 화산중, 고창 영선중, 부안 백산중, 부안 변산서중)와 울산 서생중 등 모두 7개교가 있다.

대부분 면단위에 있는 이들 학교는 당초 농어촌학교 살리기 차원에서 전국 단위로 학생을 뽑도록 했다. 현재 80∼95%가 학군이 아닌 외지에서 온 신입생들로 충원되고 있다. 하지만 모집 단위가 대폭 축소된다면 학생 수 급감으로 인해 학교 유지가 어려워질 전망이다.

고창 영선중의 경우 1년에 3개 학급을 뽑고 있으나, 학군내 초등학교는 무장초등 1곳 뿐이다. 무장초등의 졸업생은 해마다 10명 안팎인데다, 2025년 중학교에 진학할 예정인 1학년은 5명에 불과하다.

올해 101명을 뽑은 화산중의 경우 학군 내 학생은 24명이었지만 도내 246명, 도외 408명 학생이 지원해 치열한 경쟁률을 보였다.

그동안 전북교육청은 농촌지역 폐교를 막기 위해 전국 단위 자율중에 대해 인접 중학구 초등학생의 지원을 제한해 왔었다. 그러나 교육부의 초중등법시행령 개정에 갑자기 방침을 바꾸면서 학교와 학생·학부모들에게 큰 혼란을 주게 됐다.

지난 22일 도교육청과 도내 자율중 교장단 회의에서 교장들은 이 같은 문제점 등을 지적하고 대안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선중 이윤교 교장은 “자사고와 일반고 갈등에서 발생한 폐단을 중학교까지 연계시키는 것은 잘못됐다”며 “면 지역 작은 사립학교가 단지 전국단위 모집을 하는 것뿐이고, 특별히 지원을 받거나 수업료를 받는 것도 아닌데 특혜라고 할 수 있느냐”고 말했다. 이어 이 교장은 “학군내 초등학교의 학년당 학생 수는 10명 남짓인데다 이마저 점점 줄고 있는 게 현실이어서 이 방침이 확정된다면 향후 학교 운영에 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