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특보는 26일 보도된 도쿄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문희상 의장이 제안한 ‘1+1+알파(α)’ 안이 원고 측도 일본 측도 받아들일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선택지가 아닐까 한다”고 말했다.
그는 “물론 원고 측과의 협의도 필요하지만, 일본 측도 당초 부정하다가 최근에는 태도가 변했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문 의장의 ‘1+1+α’ 안은 한·일 양국 기업과 양국 국민의 자발적 성금으로 기금을 조성해 피해자에게 위자료를 지급하자는 구상이다.
문 특보는 “국회에서 특별법을 만들면 한국 정부가 쉽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삼권 분립 하에서 행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니지만, 법제화가 이뤄지면 행정부가 집행하면 된다”며 “일본 측의 여당, 자민당도 한국의 국회와 충분히 협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문 의장의 제안에 대해 소송에서 징용 피해자를 대리한 임재성 변호사는 앞서 “한국 기업이나 국민의 기금을 통해 일본 기업의 책임을 줄여주는 것”이라며 의구심을 표한 바 있다.
또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은 “피해자들은 일제의 반인도적 불법행위에 대한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는 것이지 돈 몇 푼 받자고 떼쓰는 것이 아니다”며 이 방안 철회를 촉구하기도 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문 의장의 제안에 관한 설명을 듣고 찬반을 명확히 밝히지 않는 등 수용할 여지를 남겼다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일본 기업이 응할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일본의 기업 단체인 게이단렌(經團連)의 나카니시 히로아키(中西宏明) 회장은 25일 기자회견에서 “일·한 관계를 재구축하고 싶지만 이 문제에 돈을 쓰는 것은 없다”며 기업이 돈을 내서 징용 문제를 해결하는 기금을 만드는 구상에 반대의 뜻을 밝혔다고 아사히신문이 전했다.
문 특보는 다음 달 중국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이 추진되는 것과 관련해 “12월 정상회담에서 성과를 내서 내년에 문재인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하고, 아베 총리도 한국을 방문하면 새로운 관계의 시작일 될 것”이라고 인터뷰에서 언급했다.
앞서 문 특보는 25일 JTBC ‘뉴스룸’에 출연해 “12월 한·일 정상회담 전에 수출규제 문제가 해소돼야 한다. 심지어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서도 (그 전에) 기본적인 합의의 틀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어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상회담을 하기가 상당히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