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은 내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청년층에 기회를 더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시장은 26일 페이스북에 “대한민국 정치의 출발선은 공정합니까?”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리고 “현재 대한민국 유권자 중 2030세대는 약 30%인데 20대 국회의원 중 2030은 3명에 불과하다. 국회의원 평균연령 58세, 장관 평균연령 60세가 대한민국 정치의 현실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저는 우리 청년들을 믿는다. 단지 그들에게는 기회가 없을 뿐”이라며 “다가오는 총선에서 청년들에게 보다 과감한 기회가 주어진다면 그들이 품은 이상과 꿈, 열정과 활력이 정치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올 것이다”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저는 최근 대한민국의 1992년생 조기현씨, 1982년생인 프랑스 디지털부 세드리크 오 장관 등 두 명의 청년을 만났다”며 “한국계인 오 장관을 보면서 한편으론 부럽고 또 마음이 무거웠다”고 밝혔다.
또 “27세 청년 조기현씨는 스무살에 치매에 걸린 아버지를 돌봐야 하는 가장이 되었다. 작가가 되고 싶다는 꿈이 있었지만, 당장 온갖 아르바이트와 일용직 노동으로 아버지의 병원비와 월세를 내야 하는 현실에서 꿈을 가질 여유가 없었다”며 “2016년 서울시에서 최초로 시작한 청년수당 참여자가 되면서 기현씨는 하루 몇 시간이나마 글을 쓸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됐고, 최근 드디어 ‘아빠의 아빠가 되었다’라는 책을 낸 작가가 되었다”고 전했다.
박 시장은 “출발선이 공정하지 않은 사회를 바로잡고자 서울시는 청년지원 정책을 더 확대할 것”이라며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절박한 청년들의 목소리가 실질적인 법과 제도로 이어지기 위해선 정치의 영역에서도 청년의 대표성이 획기적으로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도 청년정치인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민주당은 비례대표 후보 명단을 확정하는 국민공천심사단에서 200~300명 규모의 숙의심사단을 구성하고, 그 절반을 20~30대로 채우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자유한국당 역시 경선에서 정치 신인 50%, 청년 40%, 여성·장애인 30% 가산점을 부여하는 안을 논의 중에 있다.
김지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