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민주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법안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든 저지하기 위한 것이든, 그 협상과 타협의 과정은 청와대가 아니라 국회에서 이루어질 일”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 대변인은 “황 대표가 제시한 요구 사항 중 정부에 대한 것은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조건부 연기 결단으로 이미 실현됐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국민께 보여드려야 할 모습은 제1야당 대표의 풍찬노숙(風餐露宿) 단식이 아니라 ‘일하는 국회’”라며 “황 대표는 단식을 멈추고 건강한 모습으로 당을 이끌어 민생의 문제를 해결하는 국회를 함께 만들어 달라”고 촉구했다.
정춘숙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국회에서 선거법 수정안 마련에 여야의 공감대가 어느 정도 이뤄진 상황에서 한국당만이 자당의 밥그릇을 챙기기 위해 선거법 저지를 위해 어깃장을 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 원내대변인은 “지난해 12월 여야 5당 대표가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위한 방안을 적극 검토한다며 합의를 했지만, 한국당은 논의에 일체 응하지 않아 왔다”며 “결국 궁여지책으로 야 4당이 공조해 선거제도 개혁안을 냈으나, 한국당이 선거법 개정안을 몸으로 막아 ‘동물국회’를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또 “민주당은 처음부터 지금까지 정치개혁과 검찰개혁을 위한 법안을 합의에 따라 처리하자고 제안했으나, 매번 협상 테이블을 거절한 것은 한국당이었다”며 한국당 책임론을 제기했다.
그는 황 대표의 단식을 두고도 “‘구국을 위한 단식’ 운운하며 명분도 공감도 없는 ‘자신만을 위한’ 단식을 하고 있다”고 깎아내렸다.
이어 “황 대표의 무리한 단식의 속내는 김세연 (한국당) 의원의 당 지도부 사퇴 주장 무마, 유승민 (바른미래당) 의원과의 보수통합 실패의 엄폐, 박찬주 (전 육군대장) 영입 헛발질 등 리더십 부재에 대한 반발을 희석하기 위함은 아닌지 묻고 싶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정치협상을 거부하는 한국당은 민생의 요구에 외면하는 것임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면서 “황 대표는 더 이상 무의미한 단식을 중단하고, 정치의 정상화에 힘을 보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반면 한국당은 이날 황 대표가 단식 농성 중인 청와대 앞 광장에서 비상 의원총회를 열고 황 대표 중심으로 단결해 선거제 개혁안,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도입 법안 등을 결사저지 하겠다고 선언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패스트트랙 법안 문제와 관련해 “한편으로는 협상의 끈, 한편으로는 우리의 강력한 힘을 보이는 저지 투쟁을 통해 이 장기집권 음모를 반드시 분쇄하겠다”고 말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