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돈 총장 체제로 새 출발…조선대 다음주 ‘중대 분수령’

입력 2019-11-24 16:48 수정 2019-11-24 23:21

호남의 대표 사학 조선대가 다음 달 새 출발을 선언한다. 그동안 내홍을 유발해온 전임 총장 거취 문제를 말끔히 매듭짓고 ‘민영돈 직선 총장’ 체제에 들어간다.

조선대는 “오는 25일 교육부 사학분쟁조정위와 27일 교육부 교원소청심사위원회, 29일 법인 이사회가 잇따라 열린다”고 24일 밝혔다.

교육부가 파견한 임시 이사진 중임 여부를 논의할 사학분쟁위와 강동완 전임 총장의 거취를 결정할 교원소청위에 이어 최고 의결기관인 법인 이사회가 짧은 기간 연쇄적으로 개최되는 것이다.

지난해 저조한 교육부 대학평가 결과에 책임지고 ‘자진 퇴진’을 발표한 강 전 총장은 막상 이사회가 해임을 결정하자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돌아섰다. 그는 현재 법적 소송을 벌이고 있다.

강 전 총장의 이율배반적 거취 표명에 따라 조선대는 개교 이후 1년 가까이 극심한 혼란 속에 빠졌다. 한 지붕 두 가족이나 다름없는 ‘해임 총장’과 ‘총장 권한대행’의 이례적 체제가 유지됐다.

지난 달 1일 신임 총장 선출 이후에는 해임 총장과 총장 직무대리, 직선 총장 3명이 같은 대학에서 근무 중이다. 전무후무한 일이다.

하지만 이 대학은 다음 주 교육부 사분위와 교원소청위, 이사회 결과에 따라 대학 정상화의 최대 분수령을 맞게 됐다.

대학운영의 걸림돌이 돼온 전임 총장 거취 등 굵직굵직한 현안이 우여곡절 끝에 종지부를 찍게 됐다. 새 총장의 취임식이 그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조선대는 대학 구성원들의 간절한 염원이 현실화될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이사진 교체여부는 교육부 고유권한이지만 강 전 총장의 해임을 둘러싼 갈등은 원만히 마무리될 수순이라는 여론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실제 조선대 학내 협의기구인 대학자치운영협의회는 사학분쟁조정위가 개최되는 25일 오후 2시 본관 중앙 현관에서 기자회견을 갖는다.

교수평의회, 직원노조, 총동창회, 총학생회 등으로 구성된 협의회는 지난 1946년 7만2000여명의 참여 속에 ‘민립대학’으로 출범한 이 대학의 구심점이자 총의를 집약하는 대표적 협의기구다.

협의회는 기자회견에서 조선대 정상화를 위한 임시이사 종식과 지난 10월1일 선거에서 58.7%의 압도적 지지로 선출된 민영돈 총장 체제로의 신속한 전환을 촉구할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법인 이사회도 내부적으로 다음 달 민영돈 총장 임명을 강행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더 이상 대학 정상화를 미뤄서는 곤란하다는 공감대가 학내뿐 아니라 지역사회에도 폭넓게 형성됐다는 것이다.

이사회는 일단 교육부 교원소청심사위 결과를 지켜보겠지만 여의치 않더라도 늦어도 연말 안에 새 총장 임명절차를 밟는다는 데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 소청심사위는 사법기관이 아닌 만큼 입법 행정 사법의 확고한 ‘3권 분립’과 그 정신을 감안해도 사립대학 이사회 총장 임명권한에는 강제적 구속력을 가질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사회는 교육부 소청심사위가 수개월전 강 전 총장의 손을 들어준 것은 단순히 ‘절차상 하자’를 문제 삼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익명을 요구한 모 이사는 교육부 소청심사위가 조선대 구성원들의 절박한 호소를 이번에는 외면하지 않고 상식적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선대 관계자는 “늦어도 다음 달이면 조선대가 정상화 궤도에 올라 제2의 건학 선언을 하게 될 것”이라며 “이미 새 총장이 임명한 인사들로 집행부가 전원 교체돼 물러설 곳도 없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