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일본에 “국민 우려, 원전오염수 정보 제공하라” 요구

입력 2019-11-24 16:25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한·중·일 환경장관 회의에서 일본 측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정보를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일본 측은 외교경로를 통해 이미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제적 기준에 따라 오염수를 처리하고 있다는 기존 입장으로 대응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 장관은 24일 제21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를 마친 뒤 취재진을 만나 “(일본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바다로 방출하면) 한국 해역에 1년 이내에 도달한다는 연구가 있어 한국 입장에선 초미의 관심사라는 점을 (일본 측에) 피력했다”고 말했다. 이어 “과학적 정보와 절차를 통해 나온 여러 가지 분석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하자는 요구를 일본에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한·일 회담에 배석했던 환경부 황석태 기후변화정책관은 “서로 정제된 표현으로 얘기했다. 일본 측도 진지하게 준비해 이야기 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황 정책관에 따르면 일본 측은 재외공관을 통해 원전 오염수 정보를 공개하고 있으며,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에 따라 처리하고 있다는 태도를 취했다. 오염수 해양 방출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것 없다”는 입장을 전해왔다.

앞서 지난 9월 하라다 요시아키 전임 일본 환경상이 “바다에 방류할 수밖에 없다”고 발언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최근 일본 정부가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간하는 등 해양 방류를 위한 움직임을 보여 국제사회 우려를 야기했었다.

한·중 회담에선 중국 측이 내년 말 전 사업 분야에 적용할 예정인 배출권 거래제에 대한 한국의 경험을 공유하고, 미세먼지 정보 협력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