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올 연말 중국에서 열리는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나 양자회담을 가질 것이라고 일본 언론들이 전망했다.
교도통신은 한·일 양국 외교 당국이 다음 달 하순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열릴 예정인 3국 정상회의에 맞춰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정상회담을 여는 방안을 조율하고 있다고 복수의 한·일 관계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교도통신은 한·일 양국이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되는 상황을 피함에 따라 정상회담을 개최할 환경이 조성됐다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일본 측은 강제징용 피해자 소송 문제를 주요 의제로 논의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지난 4일 태국 방콕에서 열린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석상에서 11분간 환담했지만 공식 정상회담은 아니었다. 청두에서 정상회담이 이뤄질 경우 지난해 9월 미국 뉴욕 유엔총회 이후 처음으로 한·일 정상이 공식적으로 회담 테이블에 마주앉게 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 역시 같은 전망을 전하며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서는 “징용공을 둘러싼 재판에서 한국 대법원이 일본기업에 배상 명령을 내린 문제와 한국에 대한 수출관리 엄격화(보복성 수출규제) 문제가 정상회담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청와대는 지난 22일 한·일 정상회담 개최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정상회담 개최와 관련된 논의는 이날 오후 일본 나고야에서 열리는 강경화 외교장관과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일본 외무상의 회담에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