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훈 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현 이승만학당 교장)가 일본 기자들을 상대로 한 회견에서 문재인정부가 지난해 10월 한국 대법원의 징용 배상 판결에 영향을 줬다는 주장을 펼쳤다.
22일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이 전 교수는 전날 도쿄 일본기자클럽에서 진행한 회견에 참석해 “3·1 독립운동 이후 항일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지금의 정권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반일운동가로 대단하게 훈련된 집단”이라며 “(대법원의 징용 배상 판결이) 그런 정권의 영향을 받은 판결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믿기 어렵겠지만 2005년 노무현정부가 피징용자에게 보상하기까지 한국에서는 그 문제와 관련해 신뢰할 수 있는 논문이나 연구서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오늘날 한국에서 일본은 이해의 대상이 아니라 구원(仇怨·원수라는 뜻)의 대상”이라며 “징용공 문제도 한국인의 종족주의적 관점에서 제기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전 교수는 자신의 발언들을 ‘일제 식민지 시대 역사에 관한 객관적인 평가’라고 표현하며 “한국에서는 반민족행위로 규탄받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결과로 오늘날 한국인은 자신들의 근대문명이 어디에서 어떻게 생겨서 왔는지 모른다”고 덧붙였다.
이 전 교수는 저서 ‘반일종족주의’를 통해 일제강점기 위안부 동원과 징용의 강제성을 부정하고, 독도를 한국 영토라고 볼 학술적 근거가 충분치 않다고 주장해 논란을 빚었다. 이 책을 두고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이런 구역질 나는 내용의 책을 낼 자유가 있다면, 시민들은 이들을 ‘친일파’라고 부를 자유가 있다”는 글을 쓰기도 했다.
이 책은 ‘반일종족주의, 일한의 위기의 근원’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돼 지난 14일 일본에서도 출간됐다. 발간 첫날 일본 인터넷 서점인 아마존 재팬에서 판매순위 1위를 기록했고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