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김세연 의원은 당이나 국회에 남아 계셔야 할 분인데 불출마 선언을 하고 정작 나가도 좋다 생각되는 분들은 남아있는 상황이 마음 아프다”고 언급했다.
김 전 위원장은 22일 KBS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김세연 의원 불출마 선언에 영향을 받아 내년 총선 대구 지역 출마를 포기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구 지역 불출마 선언에 대해 “지금 보수 정치를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대구 경북의 정치적 위상을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면서도 “지금 당 사정이 굉장히 급박하고 그래서 제 입장만 고수할 상황이 아닌 것 같다”고 밝혔다.
김 전 위원장은 김 의원의 ‘한국당 해체’ 주장에 대해 “해체가 사실은 쉽지도 않고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기도 쉽지 않다”며 “다만 그만큼 절박한 상황을 표현한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전했다.
황교안 대표의 단식 투쟁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정부가 얼마나 잘못하면 그렇게 단식을 하겠나”라며 “굉장히 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사회자가 황 대표의 단식 투쟁이 일종의 자기희생으로 볼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렇게 볼 수 있다”고 답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어 “문재인 정부 독주에 대해 또 한 번 우리가 분노하는 건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내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결국 자기희생 그리고 주변에서 열심히 뛰고 있는 분들의 희생이 눈에 보이면 리더십이 생기게 돼 있다”며 “그게 지금 안 보이니까 리더십이 흔들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내 문제는 결국 인적 쇄신”이라며 “그 부분에 대한 가닥이 쳐지지 않으면 리더십은 강화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김 전 위원장은 “당이 앞으로 추구할 가치를 분명히 하고 그 가치에 맞지 않는 분들에 대해선 어느 정도 선을 그어야 한다고 본다”며 “예를 들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태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에 대해 유보하자고들 하는데 책임 있는 분들이나 그 원인을 제공한 분들이 뒤로 물러나야 유보가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우리가 추구하는 미래 가치가 있지 않겠나”라며 “진정한 자유민주주의, 반공주의의 자유주의를 넘어서 개인의 자유권을 확대하고 시장의 자유를 더 강조하는 측면에서 자유민주주의나 자유시장 경제를 이야기하는 분들에게는 선을 그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태현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