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미 의회가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안’을 통과한 데 대해 격렬히 반발했다. 미국이 ‘일국양제’ 원칙을 존중하지 않고 부당하게 중국의 내정에 간섭하고 있다는 논리를 펼쳤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양국 관계가 경색된 상황에서 홍콩 시위까지 변수로 부각되는 모양새다. 반면 홍콩 시위대는 미 의회의 움직임에 환영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21일 1면 논평에서 홍콩인권법에 대해 “미국 국내법으로 홍콩 사안에 개입하고 중국 내정에 간섭한 것으로 국제법과 국제관계의 기본 준칙을 제멋대로 짓밟았다”며 “강도의 얼굴을 하고 패권주의를 추구하는 본성을 다시금 폭로했다”고 비난했다. 인민일보는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법안은 아무 효력 없는 종잇장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홍콩 시위가 시작된 이후 폭도들의 폭력 행위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음에도 미국은 이를 외면하고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며 “오히려 인권과 자유를 핑계로 홍콩 사안과 중국 내정에 간섭하고 있다”고 밝혔다.
입법기구인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자문기구인 인민정치협상회의는 외사위원회 명의 성명에서 “(홍콩인권법은) 참과 거짓을 뒤집고 흑과 백을 뒤섞어놓은 헛소리일 뿐”이라며 “중국 내정에 난폭하게 간섭하고 홍콩 사안에 제멋대로 개입한 데 대해 깊이 개탄하며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법안의 근본적인 목적은 ‘인권’과 ‘민주’라는 미명으로 불법행위를 저지르는 범죄자들을 찬양하고 고무하려는 것”이라며 “그 사악한 의도가 낱낱이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홍콩 민주화를 지지하는 시민들은 한껏 고무된 반응을 보였다. 특히 법안이 시행되면 시위 참여 전력이 있는 홍콩 학생들의 미국 비자 발급이 쉬워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다. 홍콩 학생들은 그동안 시위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으며 이에 따라 그들이 가혹한 형벌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다.
홍콩 시위의 주역인 조슈아 웡 데모시스토당 비서장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시위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유죄 판결을 받게 될 학생들에게 미국 영사관이 비자를 내줄 가능성도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홍콩 민주화를 지지하는 데니스 쿽 입법회의원(국회의원격)은 “인권과 자유라는 측면에서 법안은 홍콩 시민들에게 새로운 보호막과 관여를 제공할 것”이라며 “학생들이 설령 유죄 판결을 받게 되더라도 그들에게 해외로 떠날 수 있는 여지를 남겨줘야 한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