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에서 반려견에 의한 ‘개물림’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하지만 광주시와 자치구 등은 이를 수수방관해 시민들의 불안을 덜어주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21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키우는 시민들이 늘면서 반려견에 종아리와 발목 등을 물리는 사고가 속출하고 있다.
광주지역의 경우 시민들이 키우는 반려견은 현재 어림잡아 16만여 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반려견과 외출할 경우 목줄이나 가슴줄을 반드시 착용하고 맹견은 입마개 착용을 하도록 의무화됐으나 물림사고는 줄지 않고 있다.
실제 지난 5월 20일 오후 8시쯤 광주 서구 모 아파트 인근 공원에서 A(55)씨가 데리고 산책 중이던 진돗개가 B(40)씨의 허벅지와 오른쪽 종아리 등을 3차례 물어 B씨가 병원에 실려가는 사고가 발생했다.
앞서 같은 달 13일 밤 9시20분쯤에도 동일한 장소에서 C(16)양이 중형견에 공격을 당해 발목을 물렸다.
같은 곳에서 반려견에 의한 물림사고가 1주일 사이 2건이나 발생하자 인근 주민들은 대책수립을 촉구하고 있다.
개에게 물리면 개의 이빨과 침에 있는 녹농균 등 세균으로 인해 패혈증, 파상풍 등 2차 감염에 따른 심각한 질환을 앓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지역의 광주 시민들도 일과를 마친 후 공원에서 산책도 제대로 할 수 없다고 푸념하고 있다.
지난해 광주에서 발생한 개물림 사고는 37건으로 전년 14건에 비해 2.6배 늘어나는 등 해마다 증가 추세다.
신고를 하지 않은 사례가 더 많다는 현실을 감안하면 개물림 사고는 방치할 수 없는 수준이다.
개물림 사고에 의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피해자 진료비 지급현황에 의하면 광주지역에서는 지난 2014년부터 지난 6월까지 최근 6년 간 16건에 대해 2100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4월 경기도 안성에서는 60대 여성이 산책을 하다가 도사견에 물려 숨지기도 했다.
그런데도 시와 자치구 등은 단속인력 부족으로 손을 쓸 수 없다며 이를 강 건너 불 보듯 하고 있다.
5개 자치구별 단속·지도 담당자가 1명씩에 불과해 반려견들이 견주와 함께 산책을 하는 주요 공원 등에 대한 지속적 단속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마저 담당자가 다른 업무를 병행해 반려견들에 대한 실질적 단속은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개물림 사고로 인한 사회적 갈등과 분쟁 해소를 위한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며 “반려견 관리소홀에 대한 처벌규정도 현행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