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서 미국 측이 주한미군 철수 문제를 거론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이 확인했다. 양국 간 분담금 협상이 최근 파행으로 치달으면서 미국이 주한미군 철수를 협상 카드로 삼아 우리 측을 압박할 가능성이 있다는 일각의 관측을 전면 부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AP통신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에스퍼 장관은 20일(현지시간) 한국이 분담금 인상 요구에 응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주한미군 1개 여단 철수를 검토 중이라는 한국 언론 보도를 확인해달라는 질문에 “들어본 적 없다(I have not heard that)”고 답했다. 그러면서 “거짓이거나 부정확하거나 과장된 언론 보도를 항상 접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에스퍼 장관은 분담금 협상이 결렬되면 주한미군을 철수하겠다고 한국을 위협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우리는 그런 걸로 동맹국을 위협하지 않는다. 이건 협상이다”라고 재차 강조했다. 아울러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이 최근 결렬된 것과 무관하게 한·미동맹에는 아무런 균열도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앞서 에스퍼 장관은 지난 19일 필리핀 방문 중 한·미 간 방위비 분담금 협상이 이뤄지지 않으면 주한미군 감축을 고려하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우리가 할지 하지 않을지 모를 것을 두고 예측이나 추측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을 압박하기 위해 주한미군을 협상 카드로 쓰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뜻으로도 해석될 수 있어 논란을 일으켰다.
에스퍼 장관의 이날 발언에 따라 미국은 향후 분담금 협상에서 당분간 주한미군 감축을 거론하지는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예측이 매우 어려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성향을 미뤄 돌발적으로 주한미군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에스퍼 장관은 한·미 연합공중훈련 연기 결정 이후에도 북한이 대화를 거부한 데 대해 “우리가 기대했던 것만큼 긍정적인 반응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훈련 연기 결정은) 적극적인 행동에 나선 것으로서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