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서종 인사혁신처장은 20일 “문재인 정부 하반기에는 (적극행정 도입에 따른) 의미 있는 변화가 시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처장은 이날 인사처 출범 5주년 출입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그는 “취임 11개월이 조금 넘었는데 가장 잘한 일이 적극행정 추진”이라며 “공무원 사회에서 실패가 용인되는 문화를 만들려고 노력했다”고 평가했다. 적극행정은 ‘공무원이 불합리한 규제의 개선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해 창의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행위’를 뜻한다.
적극행정은 공직사회가 태동할 때부터 있었던 오래된 개념이지만, 유명무실했다. 황 처장은 “(적극행정의 보상인) 특별승진도 잘 안 될뿐더러 특별승진해도 왕따 당했다”며 “게다가 적극행정하다 잘못돼 개임이 책임을 다 지는 경우가 많아 제도가 제 역할을 못 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딛고 몸 사리는, ‘복지부동 공무원’을 줄이는 게 목표다. 해법은 보상체계와 실패 용인 문화가 자리 잡는 것이다. 황 처장은 “아직 눈에 띄는 진전은 없지만 적극행정 보상 사례가 쌓이면 공직문화가 바뀌기 시작할 것”이라며 “설거지하다 접시를 깨도 괜찮고, 잘 닦으면 상도 주겠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성과가 드러나는 시점은 내년 말로 내다봤다. 황 처장은 “이 정부 하반기, 올해 하반기·내년 6월·내년 12월 보상받는 사람이 세 번만 나오면 의미 있는 변화가 시작되지 않을까”라며 “공직사회도 적극행정이 어떤 식으로 전개될지 눈여겨보고 있다”고 말했다.
선거에 나갈 생각이 없느냐는 질문엔 고개를 가로저으며 “전혀 없다”고 일축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