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20일 한일 관계 악화를 촉발한 강제징용 배상 문제에 대한 문희상 국회의장의 새로운 기금 조성 제안에 한국 측이 약속을 확실히 지킨다는 전제로 추진할 수 있다는 의향을 밝혔다.
NHK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이날 자민당 가와무라 다케오(河村建夫) 일한의원연맹 간사장으로부터 문 의장이 제안한 새로운 기금 조성안에 대한 설명을 듣고 “확실히 일한 간 약속을 지킨다면 진행해도 좋다”고 말했다.
관방장관을 지낸 가와무라 간사장은 도쿄 총리관저에서 아베 총리와 강제징용과 관련한 문 의장의 제안을 놓고 의견을 교환했다. 이 자리에서 가와무라 간사장은 “문 의장이 여러가지로 노력하고 있다. 한국 측도 한일청구권 협정의 근간을 무너트리지는 않겠다고 말하고 있다”고 전했다.
NHK는 아베 총리는 이 자리에서 한국 측이 종료를 결정하면 오는 23일 0시를 기해 실효하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에 대해서도 “협의를 계속하고 있다. 아직 포기하고서 어떻다고 할 단계는 아니다. 막판까지 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앞서 문 의장은 이달 초 도쿄 와세다대 특강에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의 새로운 해법으로 한일 기업의 자발적 기부금과 양국 국민의 성금으로 기금을 만들자는 ‘1+1+α’ 방안을 공시 제안했다.
동아일보는 문 의장 제안에 대해 일본 정부가 모금 시기와 명목 조정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이날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일본 정부 고위 당국자가 “먼저 한국 기업이 기부금을 내 피해자들에게 ‘위자료’를 지급하고 징용 문제를 끝내면, 그때 일본 기업도 기부금 모금에 동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 일본 정부는 ‘일본 기업이 한국 기업과 동시에 기부금을 낼 수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시간차에 대해서는 ‘3개월 후’를 예로 들었다고 덧붙였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