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21일 검찰에 재차 출석해 조사를 받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부장검사 고형곤)는 이날 오전 9시30분쯤 조 전 장관이 출석, 변호인 입회 하에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조 전 장관의 검찰 출석은 지난 14일 처음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돼 8시간가량 검찰청에 머문 뒤 2번째다. 조 전 장관은 지난 14일에는 진술거부권을 행사해 검찰 측 신문에 답변하지 않았고, 질문만 있는 조서에 날인한 뒤 귀가했었다.
검찰은 조 전 장관의 진술거부와 무관하게 수사를 차질 없이 진행할 수 있다는 태도를 보여 왔다. 교수 연구실 등의 압수물, 일부 이뤄진 금융거래내역 추적, 주변 관계인 진술 등을 통해서도 혐의 입증이 가능하다는 취지였다. 다만 검찰은 추가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도 동시에 보여 왔다. 불법적 사모펀드 투자, 자녀 입시비리 과정에서 조 전 장관 본인만이 답해야 할 대목도 있긴 하다는 의미로 풀이됐다.
조 전 장관 측은 불쾌감을 표했지만, 검찰은 조 전 장관 일가에게 제공된 2가지 갈래의 금품과 관련해 뇌물 여부까지도 가능성을 열어 두고 살피는 중이다. 배우자 정경심 동양대 교수가 시세보다 싸게 사들인 더블유에프엠(WFM) 차명주식, 노환중 부산의료원장이 딸 조모씨에게 제공한 6학기 장학금과 관련한 것이다. 이에 대해 조 전 장관 측은 “장학금을 이유로 ‘뇌물’ 혐의가 있다고 보도하는 것은 조 전 장관의 명예를 훼손하고 유죄의 심증으로 유포하는 것”이라고 강하게 반박했었다.
지난 8월 검찰이 수사에 착수한 뒤 조 전 장관의 5촌 조카, 아내, 동생이 순차적으로 구속 기소됐다. 조 전 장관과 관련한 수사는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이정섭)에서도 진행 중이다. 서울동부지검은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의 비위 혐의를 수사 중인데, 법조계에서는 이 과정이 결국 조 전 장관의 청와대 민정수석 재직 시절 ‘감찰 무마 의혹’으로 번질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