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 엘시티, 이번엔 부실시공 논란

입력 2019-11-20 14:42 수정 2019-11-20 18:44

아파트로는 국내 최고층 건물인 101층짜리 부산 엘시티가 이번엔 부실시공으로 인한 하자 논란에 휩싸였다. 다음 달 초 입주를 통보받은 입주예정자들은 “이 상태로는 절대 못 들어간다”며 길거리 집회에 나서는 등 진통이 예상된다.

20일 해운대 ‘엘시티’(시공사 포스코건설·882가구) 아파트 입주예정자들에 따르면 공사를 마친 아파트가 준공허가에 못 미치는 허술한 시공으로 곳곳에서 하자가 발견됐다. 특히 하자가 많이 발생한 집의 경우 400여 건에 달했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감독관청과 외부 감리업체, 시공사 등이 참여하는 공동 검사를 진행한 뒤 적절한 보강 공사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시행사인 엘시티PFV는 지난달 19~21일 입주자 사전점검을 진행했다. 입주예정자 수십여 가구는 이때 일반인들이 발견하기 어려운 하자를 찾아내고자 외부 전문가를 초빙해 새 아파트 점검을 진행했다. 전문업체가 진행한 결과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아파트의 각 세대에선 ‘욕실 및 세탁실 물 빠짐’, ‘중문 미시공’, ‘각종 타일 균열’, ‘발코니 천장 미시공’, ‘창문 틈 벌어짐’, ‘천장 및 벽지 오염’ 등 크고 작은 문제가 셀 수 없이 포착됐다.

입주예정자협의회 측은 통유리로 된 커튼월(외벽)의 틈이 벌어져 바람 소리는 물론이고 웃바람이 많이 들어온다며 동영상도 공개했다. 또 욕조·화장실 구배(경사도) 불량 등 몇몇 하자는 재시공에 준하는 공사가 필요하다는 것이 협의회의 주장이다.


이에 따라 입주예정자협의회는 2차 점검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입주자 사전점검 때 통상 같이 진행하는 지하주차장, 복도, 비상계단 등 공용부에 대한 점검은 빠졌던 만큼 이 부분을 포함한 점검을 요구 중이다. 협의회 측은 보강공사가 마무리되기 전까지 엘시티PFV 측이 추진하는 동별사용허가는 물론이고 준공허가를 내줘서는 절대 안 된다며 해운대구청과 엘시티 건물 앞에서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편안한 노후를 보내려 했다던 한 입주예정자는 “수억 원에 달하는 신축 아파트를 분양받았는데 입주 전 사전점검에서 100건이 넘는 하자를 실제로 보고 나니 어처구니가 없었다”며 “설렘이 배신감으로 변했다”라며 분통을 터트렸다.

이에 대해 시행사 측은 입주가 예정대로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행사 측에 따르면 지난달 19~21일 시공사가 계약자 779가구를 대상으로 입주 예정 일자를 조사한 결과, 492가구(63%)가 입주 지정 기간 내에 입주를 희망했다. 특히 입주 날짜를 통보해 온 가구도 90여 가구에 달해 입주 시기를 바꾸기가 어렵다는 설명이다.

시행사 측은 “포스코 건설이 건축한 아파트의 하자 발생 건수는 평균 28건에 불과한데 100건이 넘어간다는 건 과한 지적일뿐만 아니라 언론 제보를 통해 ‘부실시공’으로 몰고 가는 것은 선의의 입주예정자들에게도 피해를 주는 행위”라면서 “지적한 하자들은 입주 전 대부분 정상적으로 보수할 계획이며 준공 후에도 포스코 측의 하자 보수 전문팀이 6개월간 상주하면서 책임지고 보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입주자협의회에서 요구하는 공용부 점검은 지자체의 사용 승인 점검 대상일 뿐 주택법에 따라 시행하는 입주자 사전 점검 대상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해운대구청 관계자는 “미포육거리~미포바닷가(달맞이길62번길) 도로의 미개설 등 사업계획 승인 조건에 부합하지 않아 전체사용검사(준공)가 아닌 동별사용검사로 접수됐다”며 “동별사용검사에 대해서는 관계부서와 협의하는 등 관계 법령에 따라 검토 중이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