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간 523억원 쏟았는데…” 전북 귀농‧귀촌 증가 뒷걸음질

입력 2019-11-17 16:41
전북도가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해서 최근 6년간 500억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했으나, 성과가 뒷걸음질 치고 있어 관련 정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17일 전북도와 전북도의회에 따르면 전북도는 2014년부터 올해까지 귀농·귀촌 지원사업 예산으로 523여억 원을 투자했지만 귀농·귀촌하는 증가세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의 귀농·귀촌 수는 2016년 1만 6935가구였으나, 2017년에는 1만 6488가구, 2018년에는 1만 5925가구로 감소했다. 사람 수로는 2017년 2만 2187명에서 지난 해 2만 158명으로 줄었다.

전북의 귀농·귀촌 가구 수는 전국(34만여 가구)의 4.7%에 불과하다. 이 비율은 2014년 5.7%에서 4년새 1%P가 줄어든 것이다.

충북도의 경우 최근 3년간 2만 2400여가구에서 2만 3700여가구, 2만 5000여가구로 꾸준히 늘었다. 경기도는 2016년 8만 6000여가구가 이전했으나 지난 해 8만 7500여가구로 증가했다. 전남 역시 2016년 2만 9300가구에서 지난해 3만 500가구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전북도가 이 사업에 쏟은 예산은 해마다 증가했다.

2016년 도시민 농촌유치 지원과 수도권 귀농학교 운영, 귀농인의 집 시설 지원, 임시거주시설 조성 등 7개 사업에 모두 72억 4000만원이 투입되고 이듬 해 87억 2100만원이 들어갔다. 지난해 98억여 원에 이어 올해에도 8개 사업에 88억여 원이 투자됐다.

도의회 오평근 의원은 최근 전북도에 대한 행정사무 감사에서 “전통 농도를 내세운 전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귀농·귀촌 지원 정책에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며 “지역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고, 생활에 직접적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과 홍보 전략을 발굴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최재용 전북도 농축수산식품국장은 “초심으로 돌아가 그간 진행됐던 사업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점을 도출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어 “우리 도의 경우 다른 시‧도에서 들어오는 사람보다 전주나 군산에서 군지역으로 나가는 분들이 55% 정도 된다”며 “다른 도 지역이 인근 광역시나 서울 등지에서 가까운 지리적 이점이 있어 수치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