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 월성원전의 사용후핵연료 보관시설 확충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경주시는 오는 21일 ‘사용후핵연료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와 월성원전 소재지역 의견수렴을 위한 협약식을 갖는다.
또 이날 논란이 됐던 ‘경주지역실행기구’ 위원 11명을 최종 위촉하고 출범식을 한다.
정부는 재검토위원회를 구성하고 지역실행기구를 통해 주민의견을 물어 관련 시설 건설 여부를 결정지으려고 했으나 지역실행기구 위원들의 자격요건이 논란이 돼 출범이 미뤄졌다.
이번 경주지역실행기구 구성으로 포화 직전인 사용후핵연료 보관시설 확충 사업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가운데 맥스터를 추가로 짓기 위해서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운영변경 허가, 경주시의 공작물 축조신고 통과 등이 있어야 한다.
월성원자력본부는 지난 6월 기준 96.04%의 저장률을 보이고 있는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이 포화되기 전에 증설하기 위해 지난 2016년 4월 원안위에 운영변경 인허가 신청을 했다.
원안위는 아직 결론을 내리지 않고 3년 8개월째 심사를 하고 있다.
지난 7일 원안위는 전문위원 회의에서 안전성 평가를 의제로 올려 논의하고, 20일 최종적으로 안건을 결정해 22일 본회의에 안건으로 올려 심의할 계획이다.
경주시는 주민들만 찬성하면 공작물 축조신고를 통과시킬 것으로 보여 산업통상자원부의 정책 확정, 원안위 허가 등만 해결되면 맥스터 증설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월성원전 주변 지역민들은 빠른 시일 내 맥스터 건설을 바라고 있다.
양북·양남·감포 등 동경주 3개 읍면 중 감포읍 주민자치위원회, 이장단협의회 등은 지난 14일 곳곳에 현수막을 내걸고 원안위의 조속한 운영변경 허가를 요구하고 나섰다.
주민들은 원안위의 조속한 심의 완료와 지역실행기구 공론화에 동경주 주민 의견을 반영할 것 등을 요구하며 심의 결과에 따라 집단행동도 불사한다는 입장이다.
최학렬(50) 감포읍주민자치위원장은 “맥스터 추가 건립은 우리 지역의 최대 관심사항이 됐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정책이 너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며 “시기를 놓쳐 발전소 가동이 중단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 주민들 몫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월성원전에 지난 28년간 건식저장시설이 운영되고 있지만, 안전성 측면에 문제될 것이 없었다”면서 “늦은 감이 있으나 이제라도 공사착공을 위한 조건들을 서둘러 원안위는 하루속히 답을 내놔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