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영국 런던의 상징인 템스강 유람선에서 한국 영화 한 편이 상영됐다. 작품은 봉준호 감독의 ‘괴물’. 컵라면에 소주를 걸친 런던시민 등 200명은 영화 속 괴물이 한강 밖으로 튀어 오르고 강이 일렁일 때마다 낮게 소리를 질렀다. 봉 감독의 황금종려상 수상작 ‘기생충’ 수입사 관계자와 세계적 권위의 영화전문지 사이트 앤드 사운드 부편집장도 이 행사를 보기 위해 배에 올랐다.
한국영화 100주년을 기념하는 이 톡톡 튀는 상영회로 화제 몰이를 한 주인공은 전혜정(51) 런던아시아영화제 집행위원장. ‘영화의 광장’ 레스터 스퀘어에서 5년째 영화제를 이끌고 있는 그는 남다른 기획력으로 한국문화를 세계에 알려온 유명인사다. 박찬욱 감독 등 숱한 유명 영화인들이 그의 절친한 지인이다. 최근 강릉영화제 참석차 한국을 찾아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기자와 만난 전 위원장은 “엄청난 문화적 인프라를 갖춘 영국은 우리 문화를 전하는 데 안성맞춤인 곳”이라며 “올해 영화제도 한국작품 대부분이 매진되며 흥행했다”고 전했다.
영국 최대 규모인 오데온 레스터 스퀘어 극장(800석) 등에서 지난 3일까지 11일간 열린 이번 제4회 영화제에서는 아시아 11개국의 영화 60편이 상영됐다. 약 1만명의 인파가 이 영화제를 다녀갔는데, 배우 류준열 정해인, 홍콩 배우 곽부성 등 아시아 스타와 감독들에게 뜨거운 관심이 쏠렸다. 전 위원장은 “넷플릭스로 드라마 ‘봄밤’(MBC)을 본 정해인씨의 해외 팬까지 많은 이들이 현장을 찾았다”며 “영화제가 떠오르는 배우와 감독들의 발판으로 여겨진다는 점이 기쁘다”고 했다.
민간 행사라고는 믿기지 않을 만큼 영화제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15년 프롤로그 격 행사였던 0회를 시작으로 5년도 안 돼 런던이 “시의 주요행사”라고 치켜세우는 축제가 됐다. 까다롭기로 유명한 정부 기관 영국영화협회(BFI)에서 에든버러국제영화제 등 유수의 영화제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지원금을 받고 있고, 올해는 서울관광재단에서도 후원을 받았다. 아시아영화제로는 세계에서 세 손가락 안에 들 만큼 규모도 크다.
이 같은 성장에는 전 위원장의 노력이 짙게 배어있었다. 2006년 런던 한국문화원이 문을 열 때 출범멤버였던 그는 10여년간 일한 퇴직금을 이 행사에 쏟아부었다. 문화원 재직 당시 K뮤직페스티벌 등 숱한 문화전파모델을 성공시킨 노하우를 자유롭게 펼쳐보고 싶다는 생각에서였다. 전 위원장은 “한국 영화를 아시아 속에 위치시키면서 위상을 더 키울 수 있을 것으로 봤다”고 했다.
사비로 출장을 갈 정도로 빠듯할 때도 많지만, 영화제를 찾은 아시아 스타들과 감독들에게만큼은 최상의 컨디션을 제공하려 늘 발품을 판다. 전 위원장은 “바쁘게 돌아다닌 결과 이번 레드카펫 차량으로 롤스로이스를 후원 받았었는데, 배우들이 굉장히 놀라더라”며 “작은 부분까지 신경 써 영화인들이 문화 전파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기획자의 역할”이라고 했다.
그의 남다른 기획력도 흥행 요인에서 빼놓을 수 없다. 가령 올해 영화제에서는 ‘차세대 백남준’으로 불리는 이이남 작가의 미디어아트를 영국 대표 미술관인 테이트모던 내 극장에서 선보이며 박수를 받았다. 영화 이상으로 미술 등 전시문화를 즐기는 영국 시민들의 시선을 붙들기 위해서였다.
전 위원장은 벌써 내년 영화제 준비에 들어갔다. 영화제 5곳을 먼저 돌아다닐 예정이다. 그런 그가 꿈꾸는 런던아시아영화제는 어떤 모습일까. ‘미래형 축제’로 정의할 수 있었다.
“전 타임스지 기자분이 우리 영화제를 ‘부티크 영화제’라고 하더라고요. 개성 있고 알차다는 뜻이죠. 이젠 그걸 넘어 다양한 인종과 문화, 예술이 녹아들 수 있는 행사를 만들고 싶어요. 이를테면 ‘페스티벌 3.0’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웃음).”
강경루 기자 r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