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5지진지열발전공동연구단(이하 공동연구단)은 15일 밀레니엄 서울 힐튼 대연회장에서 ‘2019 포항지진 2주년 국제심포지엄-무시된 경고음과 교훈’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발생 2년을 맞은 포항지진이 단순 지역 이슈로 축소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을 고려해 전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항지진의 위험성과 원인, 경과 등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의 연구결과 발표와 영상전이 열린다.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에 의한 촉발지진이라는 점을 과학적 근거로 증명하는데 큰 힘을 보탠 고려대 이진한 교수는 ‘포항지진 당시와 이후 단층 재활성과 단층면 전파’를 주제로 강연한다.
부산대 김광희 교수는 ‘포항지진의 경고무시’를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 단장을 맡았던 서울대 이강근 교수는 ‘포항지진에 대한 정부조사단의 보고서 개요’를 설명한다.
또 샤피로 베를린 자유대학교 교수의 ‘지진지수를 고려한 포항지진의 확률 모델링’, 시마모토 교토대학교 교수의 ‘포항과 미국, 일본의 지열발전 비교, 그리고 2017년 포항지진’에 대해 얘기한다.
정상모 공동연구단장은 “이번 심포지엄에 참가한 국내외 지질과학자들이 밝힌 연구내용을 토대로 포항지진의 위험성과 원인, 책임소재규명 등을 적극 알려 나가겠다”며 “포항지진의 상흔이 하루빨리 치유되기 위해선 책임자 처벌과 특별법 등 후속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