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조직강화특위 위원을 지낸 전원책 변호사가 황교안 한국당 대표, 홍준표 전 대표, 유승민 바른미래당 의원을 비판했다.
전 변호사는 14일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물러날 사람은 물러나야 하고, 책임질 사람은 책임져야 하고, 2선으로 후퇴해야 할 사람은 후퇴해야 하고, 대권 출마할 용의가 있는 사람은 험지에 나가야만 한다”며 “험지에 나갈 자신도 없으면서 무슨 대권 타령을 하느냐”라고 주장했다.
전 변호사는 황 대표의 ‘희생’을 촉구했다. 그는 “친박 다수 비박 일부가 황 대표를 중심으로 모여들고 있다. 당 지도부 중심으로 모여드는 것은 나쁘다고 보지 않는다”면서도 “황 대표가 지도력 강화가 아닌 대권 길을 생각해 친황 일색으로 만들겠다는 것은 아주 난센스다. 스스로 패망 길을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황 대표는 지금 자기희생을 보여줘야 한다. 자기희생을 보이지 않으면서 ‘보수통합’을 거론하는 것은 통합하지 말자는 얘기와 같다”고 지적했다.
“탄핵 책임이 없다”며 초선 의원들의 험지 출마 요구를 거부한 홍준표 전 대표도 비판대상이 됐다. 전 변호사는 “탄핵 당시 지도부, 그 전 지도부, 이후 지도부 모두 탄핵과 보수 분열의 책임을 져야 한다. 탄핵은 보수를 이끌어 온 모두의 공동책임”이라며 “너는 책임 있고, 나는 책임 없다고 하는 순간 통합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홍 전 대표가 보수 지도자라면 대한민국 어디든지 나갈 수 있는 용기를 내야 한다”며 “초선 의원들이 험지 출마를 요구한다고 해서 ‘네가 가라 하와이’ 같은 표현까지 쓰는 것은 좀 그렇다”고 밝혔다.
전 변호사는 보수통합의 다른 축인 유승민 바른미래당 의원의 태도도 지적했다. 전 변호사는 “유 의원은 어떻게든 한국당과 합쳐야 한다. 그런데 유 의원이 내놓은 조건이 참 괴이하다”며 “탄핵의 강을 건너자. 개혁보수여야 한다. 헌 집 부수고, 새집 짓자라는 말인데, 탄핵 강을 건너자는 것은 나도 좀 살자는 얘기다. 개혁보수는 보수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새집 짓자는 자신이 다시 주인공이 되고 싶다는 얘기”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체성 확립도 안 되고, 인적 쇄신도 되지 않는 보수통합을 해본들 무엇을 하겠나”라며 “보수통합 전에 과거 집권당 일원으로 정말 부끄럽다, 쉬었다가 생각해보겠다는 용기는 내야 하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박준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