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뉴델리 대기오염, ‘비상’ 수준으로… 이란 테헤란도 휴교령

입력 2019-11-13 17:32
인도 뉴델리에서 12일(현지시간) 사람들이 대기오염 때문에 마스크를 차고 다니고 있다. EPA연합뉴스

북반구에서 겨울은 난방 수요가 늘어나는 만큼 대기질이 악화되는 시기다. 겨울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지도 않았지만 인도와 이란은 벌써부터 심각한 대기오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인도는 10월 말부터 역대 최악을 기록한 대기질 상태가 호전될 기미를 보이고 있지 않다. ‘타임스 오브 인디아’ 등 인도 현지 언론은 13일(현지시간) 뉴델리 등 인도 대도시의 대기질 상태가 ‘비상’ 상황에 접어들었다고 앞다퉈 전했다.

대기질 지수(Air Quality Index·AQI)는 국가마다 기준이 다르지만 인도의 경우 보통(101~200), 나쁨(201~300), 매우 나쁨(301~400), 심각(401~500), 매우 심각(500~)으로 구분된다. 이날 뉴델리의 여러 지역에서 측정된 대기질 지수는 오전 10시 평균 494, 오후 2시 평균 511을 기록했다.

뉴델리는 이달 들어 AQI가 999를 넘는 지역이 나오는 등 대기오염 상태가 연일 최악을 경신하고 있다. 엄밀히 말해 999는 오염 정도를 측정기로 정확하게 알 수 없을 때 나오는 수치다. 초미세먼지 농도 역시 WHO의 안전기준치를 무려 20배 이상 넘긴 곳도 부지기수다. 오죽하면 인도 보건부는 지난 3일 “델리가 독가스실이 됐다”면서 학생들에게 마스크를 제공하는 한편 휴교령을 내렸다. 이날 극심한 대기 오염 때문에 37개 항공편이 항로를 우회하거나 취소됐다.

인도 정부는 도심에서 공사를 전면중단하고, 차량 2부를 실시하는 등 오염 물질을 줄이기 위한 갖가지 대책을 쏟아내고 있는 상태지만 효력이 크지 않다. 실제로 지난 5일 초미세먼지 농도 상태는 전날까지 ‘심각’에서 ‘매우 나쁨’으로 다소 떨어졌지만 13일 또다시 ‘심각’이 됐다.

뉴델리의 대기오염이 이맘때 최악이 되는 배경에는 농부들이 11월 중순 작물 파종기를 앞두고 농작물 찌꺼기를 태우며서 나오는 연기와 재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찬 공기가 이들 찌꺼기 태우는 연기와 자동차 매연, 공장 배출 가스, 공사 먼지 등을 둘러싸면서 스모그를 만든다. 이 스모그는 사람들의 눈과 호흡기 등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힌다. 지난해 인도 의학연구위원회(ICMR)는 지난해 12월 인도에서 대기오염 관련 질환 사망자 수가 124만여 명으로 흡연을 제치고 사망 원인 1위가 됐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인도 대법원은 지난 5일 환경운동가들이 낸 대기오염 관련 탄원서에 대한 판결에서 뉴델리를 둘러싸고 있는 주에서의 농작물 찌꺼기 태우는 일을 즉각 중지하라고 명령했다. 하지만 가난한 농민들이 오랫동안 해오던 관행을 그만둘지 미지수다.

이란 테헤란 역시 올 겨울도 고질적인 대기오염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란 정부는 12일 수도 테헤란의 대기질이 악화되자 13일 강제 휴교를 명령했다. 대기오염으로 학교 수업이 중단된 것은 지난달 중순 5일간 휴교령에 이어 두 번째다.

이란의 AQI는 양호(0~50), 보통(51~100), 민감한 그룹에 나쁨(101~150), 나쁨(150~200), 매우 나쁨(201~300) 그리고 위험(301~500)으로 분류된다. 이날 테헤란은 평균 144를 기록했으며 지역에 따라 150을 넘기는 곳도 여럿 나왔다.

분지 지형인 테헤란은 겨울철에 대기가 안정돼 바람이 잘 불지 않는 데다 난방 탓에 공기 오염이 다른 계절보다 특히 심하다. 여기에 과도한 차량 운행과 질 낮은 연료 사용, 공장들이 내뿜는 오염 물질들이 짙은 스모그를 만들어낸다. 이란에서 대기오염은 실업 및 물가 상승과 함께 야권이 정부를 공격하는 주요 이슈일 정도로 심각한 사회 문제기도 하다.

이란 당국은 매년 대기오염이 심각해지면 차량 강제 2부제를 시행하고 도심에 트럭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편 테헤란 주변의 아스팔트, 시멘트, 광공업 공장 가동을 중단한다. 하지만 본질적인 해결책을 내놓지 않는 만큼 매년 반복되는 대기오염 문제가 올 겨울에도 재연될 전망이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