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과 정상체중, 장내 세균 구성 농도 달라”

입력 2019-11-12 20:29
의정부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주상연 교수. 의정부성모병원 제공

의정부성모병원은 가정의학과 주상연 교수 연구팀이 그 동안 신진대사, 호르몬, 스트레스 등에서 이유를 찾던 비만의 원인에 대해 장내 세균의 구성 농도에 따라 비만의 정도가 다르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의정부성모병원이 아주대병원 및 베이징대병원과 공동으로, 미국, 유럽, 아프리카인을 대상으로한 학계의 보고 자료를 이용해 비만군 및 정상체중인 사람들의 ‘대장의 짧은사슬지방산 농도’와 ‘장내 세균 농도’를 메타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됐다.

아직까지는 인간의 장내 세균 및 장내 세균이 만들어내는 짧은지방산의 농도와 비만과의 연관성은 국가와 인종간에 서로 달라 일치된 의견이 없었다.

이번 연구 결과 뚱뚱할수록 인간의 에너지원이 되는 짧은지방산이 많았다. 비만한 사람의 장내 세균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생물학적 분류인 ‘문’으로 분리해 분석한 결과 박테로이디티스문과 퍼미큐티스문의 장내 세균의 농도가 적었다.

특히 나이가 증가할 수록 비만한 사람의 균 종류는 달라지는데, 37세 미만에서는 퍼뮤규티스 장내 세균이 비만할수록 많았으며, 47세 미만에서는 비만군에서 박테로이디티스 장내 세균이 적었다.

주상연 교수는 “향후 유익균을 이용하여 비만, 당뇨, 쾌락적 섭식행동 질환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질병 치료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면서 “장내 세균의 농도가 달라지는 구간에서 식습관, 생활습관 분석을 통해 전문의와 함께 더 건강한 몸을 유지하는 방법을 완성하는 시간이 이제 머지 않았다”고 이번 연구 발표의 소감을 말했다.

한편, 이 연구는 스위스 영양소(Nutrients, IF 4.171)에 10월 18일에 발표됐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