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사태’로 불거진 입시 특혜 의혹이 문재인정부 전반기 교육 분야를 강타했던 이슈 상위 6개 안에 포함됐다. 언론사 기사와 소셜미디어 등에 언급된 교육 관련 키워드를 분석한 내용이다. ‘조국 발(發)’ 교육 이슈는 상위 6개 이슈 가운데 3개와 관련이 있을 정도로 파괴력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19교육분야 국정과제 중간점검회’에서 이런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 의뢰해 문재인정부 전반기(2017년 5월~2019년 10월) 교육관련 키워드를 분석했다. 소셜미디어와 네이버 뉴스(676개 언론사), 커뮤니티·카페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가장 많이 언급된 교육관련 키워드는 입시특혜 의혹, 사립유치원, 자율형사립고, 대학수학능력시험, 고교무상교육, 비정규직 처우개선이었다.
입시특혜 의혹 안에는 ‘촛불집회’ ‘정치인자녀 관련 의혹’ ‘논문 저자 논란’ 3개 세부 키워드가 들어가 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딸의 의학논문 1저자 논란과 대학-의학전문대학원 부정 입학 및 장학금 특혜 의혹 등이 언론과 소셜미디어 등에 많이 언급된 결과로 풀이된다.
수능이란 키워드 안에는 ‘대입 준비’ ‘수능 절대평가 도입 및 영향’ ‘사교육 부담 우려’ ‘대학 입시’ 등이 세부 키워드였다. 문재인 대통령 대선공약이었던 수능 절대평가 공약부터 최근 불거진 정시 확대 논란까지 현 정부 내내 이어진 대입 혼란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자율형사립고 역시 조 전 장관 논란과 무관하지 않은 이슈다. 이 키워드 안에는 ‘자율형사립고 취소 영향’과 ‘강남 8학군 부활’이 세부 키워드로 제시됐다. 지난 8월 전북 상산고 논란부터 최근 자사고·외고·국제고 일괄 일반고 전환까지 대입과 밀접한 고입 논란이 지속된 결과로 보인다. 교육부는 조 전 법무부 장관 논란 이후 교육청 평가를 통한 단계적 전환에서 일괄 전환으로 입장을 바꿨다. 특히 8학군 부활 우려에 대해 정부는 ‘근거 없음’이라고 선을 긋고 있지만 학부모 사이에선 우려가 팽배해 있다는 분석도 가능해 보인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