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은희 최고위원 당직 박탈… 당권파가 장악한 바른미래

입력 2019-11-11 17:40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가 11일 국회에서 열린 바른미래당 제166차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권은희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이 당직을 박탈당하면서 당권파 위원들로만 최고위원회의 의결이 가능하게 됐다. 손학규 대표는 최고위 내분을 최소화해 내년 총선 준비에 매진하겠다는 계획이다.

바른미래당은 11일 권 최고위원을 직책 당비 미납을 이유로 최고위원·지역위원장·전국여성위원장 당직과 공직선거 후보자 신청 자격을 박탈했다. 김정화 대변인은 “권 위원은 9개월 동안 당비를 미납했고 당 사무처에서는 납부 독려 문자를 3번 보냈다”며 “당규에 따르면 직책 당비를 6개월 이상 납부하지 않은 당직자는 당직을 박탈한다”고 설명했다.

권 최고위원의 자격 박탈로 당권파 의원들로 최고위 과반이 구성됐다. 당 최고위에 현재 참석하는 최고위원인 손 대표, 지명직 최고위원인 주승용 국회부의장, 김관영 의원, 채이배 정책위의장 4명은 당권파로 분류된다. 기존 최고위는 오신환 원내대표를 포함해 하태경·이준석·권은희·김수민 최고위원 등 비당권파가 다수였다. 하태경·이준석 최고위원의 징계에 이어 권 위원의 당직 박탈로 남은 비당권파 최고위원은 오 원내대표와 김 위원뿐이다.

권은희 바른미래당 최고위원. 연합.

권 최고위원이 당직에서 박탈된 내막은 최고위 의결 정족수에 그간 비당권파와 당권파 간에 이견이 있었기 때문이다. 6개월 당직 정지 징계를 받은 하 최고위원이 최고위 재적수에 포함되면 총 8명이라 의결 정족수는 5명이라는 게 비당권파 입장이다. 반면 하 최고위원을 제외한 재적 인원은 7명이기 때문에 의결 정족수는 4명이라는 게 당권파 입장이다. 4명은 손 대표 측에서 선출직 최고위원이 없이 최고위 안건을 의결하는 데 필요한 의결 정족수다. 임재훈 사무총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하 최고위원 건으로 비당권파와 이견이 있었으나 헤어지는 마당에 감정을 자극하지 않고 피해가기 위한 손 대표의 고육지책”이라고 말했다.

손 대표 측은 최고위가 정상화 되면서 그동안 하지 못했던 총선 준비와 인재영입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바른미래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최고위 의결 사항으로 총선기획단과 공천관리위원회 구성과 공직선거 후보자와 지역위원장 의결이 최고위 권한이다. 임 총장은 “총선을 5개월여 앞둔 상황에서 총선 기획단을 꾸리는 것이 당장 급한 일이다”며 “40여 명의 지역위원장을 임명해야 하고 복당을 타진하는 의원들이 있다면 최고위 의결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변혁 측 의원이 탈당 수순을 밟으면 바른미래당이 ‘호남당’이라는 인식이 커져 제3지대에서 입지가 더 좁아질 가능성이 크다. 바른미래당에 남는 의원들은 호남계 의원이 주축이다. 최고위에서도 지명직 최고위원인 주 부의장과 김 의원이 호남계 의원이다. 비례대표인 채 의장도 전북 출신이다. 최도자 수석대변인도 여수 출신 의원이고 김동철, 박주선 의원도 호남계다. 여기에 대안 신당 쪽에 있는 호남계 의원들의 개별 입당 가능성도 열려있다. 임 총장은 ‘복당할 의원이 있냐’는 질문에 “윤곽이 드러나면 다시 말하겠다”면서도 “(복당 의사를 밝힌 의원이)있다”고 말했다.

권 최고위원은 입장을 내고 “손 대표가 사당화한 당에 당비를 낼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며 “같은 이유로 월 200만원의 활동비를 주겠다고 하는 것도 거절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손 대표가 당을 사당화하는 것을 최고위원으로서 막지 못했다”며 “거기에 대한 책임을 통감한다”고 덧붙였다. 김철근 전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페이스북에 “손 대표가 투표로 당선된 선출직 최고위원들을 모두 제거했다”며 “당을 자신의 정치적 노욕에 사용하려는 손학규 대표의 정치적 말로가 안쓰럽다”고 비판했다.

김용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