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에서 다음달부터 운영되는 ‘수요응답형버스’에 지능형 운행보조·안심귀가 라이브 서비스 등의 첨단기술이 적용될 전망이다.
세종시와 세종도시교통공사, SK텔레콤은 11일 세종도시교통공사 대회의실에서 ‘수요응답형버스 및 통합교통서비스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수요응답형버스는 대중교통 이용객이 적은 읍·면 지역에 운행 수요가 있을 경우 1시간 이내에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개념 교통시스템이다.
세종시 수요응답형버스는 이날 협약에 따라 최적 운행경로 자동선정, 이용 수요가 다발적으로 발생할 때 보다 효율적인 운행 경로 재설정을 위해 SKT의 티맵(T-Map)과 실시간 교통정보(API)를 활용하게 된다.
여기에 버스 운행 중 발생하는 각종 상황을 차량 스스로 인지·판단할 수 있는 지능형 운행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ADAS)을 도입해 운행 안전도를 높일 계획이다.
시는 특히 수요응답형버스의 실시간 위성항법장치(GPS) 정보 등을 수집·모니터링 할 수 있는 ‘통신형 차량 운행 정보 수집 장치’도 장착해 이용자 편의를 향상시킨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마을회관과 콜센터를 직접 연결하는 ‘콜백시스템’을 도입하고, 늦은 시간에도 안전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티맵 택시의 ‘안심 귀가 라이브’ 서비스도 활용할 예정이다.
각 시스템이 적용될 경우 수요응답형버스가 지역 내 교통 수요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고, 운전자의 운전습관 등을 데이터로 축적·분석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시는 내다보고 있다.
다음달 장군면에서 첫 운행을 시작하는 수요응답형버스는 오는 2022년 세종시 전체 읍면 지역으로 서비스가 확장될 예정이다.
김태오 세종시 교통과장은 “수요응답형버스에 첨단기술 접목이 성공하면 장애인 콜택시, 마을택시 등으로 확대 적용할 것”이라며 “이 시스템을 세종시의 차세대 통합교통서비스 시스템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