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실장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 과정) 부분에 대해 상당한 오해와 추측이 있었던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사실 조국 전 장관을 임명한 것은 오랜 개혁과제라 할 수 있는 권력기관 개혁을 제도적으로 완수할 적임자가 조국 전 장관이라고 생각해서 선택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 과정에서 무슨 해프닝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말이 있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노 실장의 발언은 지난 1일 국회 운영위의 청와대 국정감사에서 밝힌 내용을 거듭 확인한 것이다. 그는 당시 국감에서 정점식 자유한국당 의원이 ‘청와대 분들이 조국 전 민정수석은 부적격이라는 의견을 전달받은 바 있나’라고 묻자 “제가 알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 받아본 적 없다”며 “저에게 그런 요청을 한 사람이 없다”고 말했다. 노 실장은 ‘면담 요청이 없었다고 봐도 되나’라는 질문에 “제가 아는 한 그렇다”고 답했다.
애초 ‘윤석열 면담 요청설’이 불거진 것은 유시민 이사장 때문이다. 유 이사장은 유튜브 방송 ‘알릴레오’를 통해 거듭 ‘윤 총장이 대통령 대면보고를 요청했다’는 취지의 주장을 했다. 윤 총장이 조국 전 장관 내사 자료를 바탕으로 조 전 장관을 임명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굳혔고 이를 대통령에게 보고하게 해달라고 여권 핵심 인사에게 요청했다는 것이다. 민주당 쪽에서도 비슷한 얘기가 동시에 흘러나왔다. 윤 총장 발언을 간접적으로 보고받은 문 대통령이 ‘격노’해 조 전 장관을 임명했다는 얘기도 나돌았다. 윤 총장이 대통령의 인사권을 침해했다는 비판도 나왔다. 그러나 노 실장이 이 같은 ‘풍문’을 두 차례 부인하면서 유 이사장의 주장도 힘을 잃게 됐다.
유 이사장의 입지는 더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유 이사장은 최근 ‘조국 사전 내사설’ 등 자신이 제기한 의혹들을 검찰이 부인하자 방송에서 그 근거를 밝히겠다고 했다. 그러나 결국 뚜렷한 근거를 내놓지 못해 민주당에서도 비판을 받았다.
유 이사장은 다만 지난 2일 전주교육대에서 열린 시민학교 대담에서 노 실장의 국감 언급에 대해 “그럴 만한 사정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 이사장은 최근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집필 활동을 위해 유럽으로 출국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