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돈 조선대 신임 총장 조속한 취임 통해 대학 안정 이뤄달라

입력 2019-11-10 16:32 수정 2019-11-10 16:58

조선대 신임 총장의 조속한 취임과 정상적 학사 운영을 촉구하는 각계 입장 표명이 잇따르고 있다.

조선대 전 총장과 학장 등에 이어 영·호남 4개 사립대학 직원들도 이 대학의 조속한 안정을 바라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영·호남 4개 대학 직원노조 협의회가 지난 9일 영남대에서 함께 개최한 ‘영·호남 4개 대학 교직원 체육대회’가 계기가 됐다.

조선대와 원광대, 영남대, 동아대 등 4개 대학 직원들은 노조 협의회 명의의 공동 성명에서 “조선대 교원·직원·학생이 직접선거 방식으로 선출한 신임 총장을 통해 빠른 안정을 찾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들은 “조선대 신임 총장이 대학의 조속한 정상화를 이루어 낼 수 있도록 교원소청심사위원회가 현명한 판단을 내려주실 것을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영·호남 4개 대학 직원노조 협의회는 ‘지역을 넘어 우리는 하나’라는 슬로건으로 매년 체육대회와 각종 교류행사를 갖고 있다.

교직원 체육대회는 올해 17회로 그동안 대학 교육현장의 ‘동서 화합의 무대’ 역할을 해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개 대학 직원노조 대표(원광대학교 직원노조 안순오 위원장, 영남대학교 직원노조 김상수 위원장, 조선대학교 직원노동조합 비상대책위원회 최철 위원장, 전국대학노동조합 동아대학교 박넝쿨 지부장)들은 체육대회에서 함께 단상에 올라 공동 성명을 발표하고 서명했다.

조선대에 전달된 성명서는 향후 이 대학 학내 구성원들의 탄원서와 함께 교육부에 제출될 예정이다.

조선대 전임 총장과 학장 등도 최근 교육부 교원소청심사위원회에 ‘강동완 총장의 해임과 신임 총장후보 조속 임명’을 요청하는 탄원문을 제출했다.

조선대(총장직무대리 이대용)에 따르면 김주훈 조선대학교 전 총장(13대)과 임병대 명예교수회 회장, 강정석 전 인문대학장 등 전 총장과 주요 보직자 82명이 교원소청심사위원회에 탄원문을 냈다.

이들은 ‘강동완 전 총장의 해임과 신임 총장 조속한 임명’을 요청하는 탄원문에서 “2018년 제2주기 교육부 평가에서 탈락한 타 대학 총장들과 보직자들은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모두 스스로 물러났지만 강동완 전 총장은 ‘왜 나만 책임져야 하느냐’는 무책임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오죽했으면 70대 이상인 명예교수들이 탄원문을 올리겠느냐”며 “무슨 이득을 취하는게 아닌 학교를 살리고자하는 지성과 양심으로 탄원을 드린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강 전 총장 측은 “악의적이고 일방적인 탄원서는 동의 서명도 제대로 받지 않았고 사실과도 다르다”며 “특정인에 대한 명예훼손이 담긴 탄원서를 주도한 일부 명예교수와 보도자료를 배포한 본부 책임자들에게 민형사상 책임을 묻겠다”고 반발하고 있다.

앞서 조선대 총학생회도 이사회의 ‘부당 해임’을 주장하는 강 전 총장에게 “대학 안정과 발전을 뒤흔드는 법정 공방을 멈춰달라”고 요구했다.

총학은 지난달 30일 “강 전 총장님은 더는 대학을 혼란으로 빠트리지 말아달라”며 “학생들이 갈등 없는 환경에서 자유롭게 배움을 이어나가도록 도와달라”고 지적했다.

총학은 “강 전 총장님이 제기한 총장 임명 중지 가처분이 일부 인용되면서 대학은 다시 혼돈과 미궁으로 빠져들고 있다”고 우려했다.

조선대 이사회는 지난해 교육부의 대학 기본역량 진단에서 ‘역량강화대학’이라는 저조한 평가를 받은 책임을 물어 강 총장을 해임했다.

하지만 강 총장은 이에 불복해 교육부에 소청 심사를 청구하고 법원에 차기 총장 선거 중지 가처분을 신청했다.

광주고법이 최근 1심에서 기각된 강 총장의 가처분 신청을 일부 받아들이면서 지난달 1일 실시된 직접 선거에서 58.6%의 높은 득표율로 제17대 총장에 선출된 민영돈(61) 의학과 교수의 차기 총장 임명 절차가 늦어지고 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