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이 다가오면서 보통주보다 배당 수익률이 높은 우선주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자 지분에서 우선주가 차지하는 비중도 늘었다.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어 보통주보다 주가가 낮지만 배당 수익률이 더 높아 배당을 중시하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코스피) 시장 우선주 가운데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으로 구성된 우선주지수는 지난 8일 기준으로 연초 대비 9.2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코스피 상승률 4.71%를 웃도는 수준이다. 최근 한 달 상승률도 4.97% 올라 역시 코스피 상승률(3.60%)을 상회했다.
우선주와 보통주의 가격 격차도 줄어드는 추세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코스피 우선주의 보통주 대비 괴리율은 지난 7일 기준으로 평균 36.96%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 1.81% 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연고점이었던 지난 4월(40.54%)보다도 3.58%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금융투자업계에는 저금리 환경과 더불어 12월 결산을 앞두고 배당주 투자 매력이 부각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배당 수익률이 높은 주식은 흔히 연말이 투자 적기로 분류된다.
특히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상당수는 외국인 보유 비중이 절반을 넘은 상황이다. 코스피 시총 3위인 삼성전자우는 지난 8일 기준 외국인 보유 비중이 92.51%에 육박.한다 현대차2우B(74.96%), LG생활건강우(91.18%), LG화학우(65.18%), 아모레퍼시픽우(72.77%) 등 시가총액 상위 우선주도 사실상 외국인이 절반 이상의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