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황 대표가 책임 추궁을 피하기 위한 묻지마 보수통합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며 “최소한 교감이나 소통도 생략한 일방통행식의 뚱딴지같은 제안”이라고 깎아내렸다.
또 “실행 가능성 낮은 개편에 매달리는 제1야당 행보가 딱하다”면서 “더 큰 폭탄을 터트리는 시선 돌리기용 폭탄”이라고 비판했다.
이 원내대표는 “국민은 왜 구시대 인사인 박찬주를 영입 1호로 하려고 했는지 묻는다. 삼청교육대 망언에 대한 입장도 분명히 하라”며 “제1야당 대표는 분명히 대답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그는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의 ‘국정감사 고성’ 논란으로 전날 국회 예산결산특위가 파행된 것과 관련해 “(한국당이) 습관성 보이콧으로 민생을 위한 예산 심사까지 중단했다”면서 “운영위에서 끝난 일을 예결위로 가져와 파행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직자를 검사가 피의자를 다루듯이 행세한 한국당도 아주 잘한 일은 아니다”라면서 “더는 국민이 손해를 안 보게 예산 심사를 속도 내고 집중하자”고 했다.
이 원대대표는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검찰의 ‘세월호 특별수사단’ 설치에 대해 “검찰이 기왕에 수사를 재개하기로 했으면 진상이 철저하게 규명되는 쪽으로 가야 한다”면서 “있었던 사람은 있었던 대로 명명백백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와 함께 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이 모병제를 총선 공약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에 대해 “자체 연구인지 민주연구원 여러 견해 중 하나로 한 것인지는 확인해 봐야 한다”며 “정리 안 된 얘기고 공식적으로 얘기한 것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