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부 7개 부처 “중국·러시아·이란, 대선 개입할 수도” 일제 경고

입력 2019-11-06 14:54 수정 2019-11-06 15:07

미국 정부 7개 부처가 내년 대선에 악의적인 해외 세력이 개입할 가능성이 있다며 일제히 경고 메시지를 내놨다. 이들은 중국과 러시아, 이란 등 ‘악의적 행위자’가 선거 과정에 개입하거나 여론 조작을 시도할 수 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측이 대선 구도에 영향을 주기 위해 우크라이나 정부를 압박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나온 움직임이어서 주목된다.

법무부와 국방부, 국토안보부, 국가정보국(DNI), 연방수사국(FBI), 국가안보국(NSA), 사이버안보국(CISA)은 5일(현지시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적들은 우리의 민주주의 제도를 훼손하고 여론을 바꿔 정부정책에 영향을 미치려 한다”며 “러시아와 중국, 이란과 여타 모든 해외 악의적 행위자가 선거 절차에 개입하거나 유권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려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 부처는 그러면서 “적들은 소셜미디어 공작과 허위 정보 유포, 국가 및 지방 인프라를 겨냥한 사이버 공격 등 다양한 수단으로 자신들의 목표를 달성하려 할 것”이라며 “미국 정부는 전례 없는 수준의 협조 하에 50개 주와 해외 영토, 지역 관리, 민간 분야 파트너들과 함께 위협을 식별하고 정보를 광범위하게 공유함으로써 민주주의 절차를 수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들은 해외 세력이 선거 과정에 개입 시도를 한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성명은 “적들이 투표 방해, 득표수 조작, 검표 작업 방해 등을 목적으로 선거 관련 인프라를 훼손하거나 혼란을 일으키려 했다는 증거는 지금으로서는 발견하지 못했다”며 “우리는 미국 선거를 겨냥한 모든 위협을 지속적으로 주의 깊게 관찰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보기관들은 러시아 정부가 2016년 대선 개입 시도를 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이후 해외 세력의 선거 개입 가능성을 경고해왔다. 러시아 게이트 의혹을 수사한 로버트 뮬러 전 특별검사는 청문회에서 “많은 국가들이 지난 대선에서 러시아가 했던 일을 따라 하기 위해 능력을 배양하고 있다”며 “그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그런 일을 도모하고 있으며 다음 선거에서 이를 실행에 옮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성명이 트럼프 대통령 측이 유력 민주당 대선 주자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을 흠집 내기 위해 우크라이나 정부에게 바이든 전 부통령의 아들 헌터 바이든을 수사하라고 압력을 넣었다는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나왔다는 것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