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국회를 향해서도 “동물국회가 반복돼선 안 된다. 국민을 존중해 달라”며 날을 세웠다.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 참석차 국회를 찾은 강 수석은 본인 출석 문제로 오전 회의 자체가 무산된 이후 기자들과 만나 “제가 잘했다가 아니라, 잘못한 것은 필요하면 백번 사과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강 수석은 자신의 예결위 출석을 야당이 거부한 것에 대해 “(교섭단체) 3당 간사가 어제 합의로 요구해서 나오라고 해서 나왔을 뿐”이라고 했다.
이어 “저 때문이라고 하면, 할 수 있는 것을 다 하겠다. 금요일(지난 1일) 국감 도중 소리친 것은 피감기관 증인 선서를 한 사람으로서 잘못한 것이 분명하다”면서도 “이걸 핑계로 국회가 또 공전하면 어떡하나, 아쉬움이 남는다”고 언급했다.
또 “국감장에서 제가 항의하고 소리친 것에 대해 분명히 유감을 표명한다는 것을 전제한다”면서도 “국회도 생각해야 한다. 오늘만 하더라도 오전 10시 30분 (나와 약속됐던) 충청지사가 백만분의 서명을 전달하려다가 돌아갔고, 매우 중요한 공적업무였던 점심 약속을 깼다”고 했다.
그는 “국무위위원들이 이구동성으로 말하는 것이 ‘왜 도대체 국회는 질문하고 답변은 듣지 않고,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불신부터 하느냐’는 것”이라면서 “국무위원이 말을 못 해서 그렇지, 을(乙)중의 을”이라고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논란이 된 국감 때의 언사와 관련해서도 “그날 하루종일 영상을 돌려보라. 제대로 답변을 했는데도 ‘어거지’라고 하는 회의 진행을 국회가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날 바로 나 원내대표를 찾을 계획이냐는 질문에 강 수석은 “오지 말라고 하는데 찾아가면 오히려 어깃장을 놓는 것”이라면서 “사람 마음이 풀리고, 필요하면 찾아봬야 한다”고 했다.
강 수석은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과 관련한 정 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 사이 발언이 엇갈린 것과 관련, “어제 안보실장과 국정원장, 국방부장관이 ‘이동식발사대(TEL)로 북한이 ICBM을 쏠 수 없다’는 공통 입장을 냈다”며 “야당이 설령 다른 생각이 있더라도, (정부가) 공식 발언하면 받아주셔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생각이 (국감) 그날 거칠게 폭발된 배경이다. 국회가 원활하지 돌아가지 않는 점에 국민께 송구한 일이고, 나 원내대표와 여러 야당이 이 점을 통 큰 마음으로 양해해달라”고 호소했다.
강 수석은 “저도 국회 있을 때 아시다시피 많이 싸웠고, 그 동물국회에서 벗어나자고 국회선진화법 만드는 데 나선 것이다. 제가 앞장서 만들었던 동물국회를 또 만들어선 안 된다”며 “국회는 존중돼야 하지만, 국회도 국민을 존중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