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중국 공산당 인권유린 멈춰라”…미·중 상호관세 철회 검토

입력 2019-11-06 12:25
신화뉴시스

미·중 무역협상의 ‘1단계 합의’가 속도를 내는 가운데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신장위구르 지역 소수민족을 탄합한다며 중국을 강도높게 비난하고 나섰다. 무역협상과 별개로 미국은 각 분야에서 중국에 대해 압박 정책을 유지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미국과 중국은 무역협상 합의를 위해 서로 관세를 철회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5일(현지시간) 중국 신장 지역 내 위구르 활동가들 및 생존자들 가족에 대한 탄압‘이라는 성명에서 “미국은 중국 정부가 자신들의 이야기를 공개한 위구르 무슬림 활동가 및 신장 포로수용소 생존자들 가족에 대해 탄압과 투옥, 임의 구금했다는 여러 보도에 대해 심히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국무부를 대표해 중국 공산당의 탄압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타격을 입은 용감한 인사들과 그 가족들에 대해 진심 어린 애도를 표하길 원한다”며 구체적인 사례를 거론하기도 했다. 그는 일부 사례의 경우 국무부 고위 당국자들과 만남 직후에 이뤄졌다고 덧붙였다.

폼페이오 장관은 “소리 내어 말하는 위구르 지지자들의 용기는 종교의 자유를 포함, 중국 공산당의 인권 유린에 대한 진실을 파헤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중국 밖에 거주하는 위구르족에 대한 모든 탄압을 멈추고 임의로 체포한 모든 이들을 풀어주며 가족들과 자유로운 소통을 허용할 것을 베이징에 재차 촉구한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달 30일에도 중국 공산당이 미국의 이익에 반하는 적대적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무역관행과 인권, 남중국해 및 대만에 대한 공격 등 수많은 전선에서 전세계가 중국 공산의 도전에 맞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의 군사력 증강 수준이 자국 방어에 필요한 수준을 훨씬 뛰어넘었다면서 중국 공산당은 세계 지배를 꿈꾸고 오로지 지도자의 말만 경청해야 하는 체계라고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앞서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지난달 24일 중국이 홍콩 민주화 요구 시위와 관련해 홍콩의 권리와 자유를 축소하고 있다고 비판하는 등 중국에 대한 미국 정부 고위인사들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펜스 부통령은 “중국은 홍콩에서의 개입을 늘리고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을 통해 홍콩 주민이 보장받은 권리와 자유를 축소하는 행동에 관여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홍콩 시위자들을 향해 “우리는 당신과 함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편 마국과 중국은 ‘1단계 합의’ 최종 타결을 위해 기존에 부과한 관세 가운데 일부의 철회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위 관리는 “(1단계) 합의가 있다면, 관세를 제거하는 것이 한 부분이 될 것”이라며 미국이 중국에 대한 관세 관련 조치를 할 경우 “중국도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일부 관세를 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윌버 로스 상부장관은 전화 기자회견에서 “중국과의 ‘1단계 합의’를 타결하는 데 매우 좋은 진전이 이뤄졌다”며 재차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앞서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9월 111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부과한 15%의 관세를 철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관영 경제일보는 “미중 양측의 핵심 관심 우려를 원만하게 해결하는 것이 합의달성의 전제”라며 “이미 부과된 모든 관세를 최종 철회하는 것은 중국의 핵심 관심사”라고 전했다. 이어 “관세부과는 미중 무역전쟁의 출발점이기 때문에 관세 철회는 합의 달성의 필요조건”이라며 “과거에도 그러했지만 향후 협상에서도 이런 입장은 변함없다”고 주장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