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국방정보본부장이 6일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이동식발사대(TEL)에서 쏜 적이 없다. (TEL을 통한 이동식 발사에) 성공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고 이혜훈 국회 정보위원장이 전했다. 이는 지난달 8일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의) ICBM은 현재 TEL에서 발사 가능한 수준까지 고도화돼 있다”는 김 본부장 자신의 답변을 스스로 부인한 것이다.
이 위원장에 따르면 이날 비공개로 진행된 국감에서 김 본부장은 ‘ICBM을 TEL로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그동안 언론에 나온 것과 다른 발언인데 (김 본부장) 본인은 그 입장을 유지해 왔다고 말한다”고 설명했다. 야당에서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지난 1일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ICBM은 기술적으로 TEL에서 발사하기 어렵다”고 했던 발언을 김 본부장이 뒷받침하려고 말을 바꾼 것 아니냐고 보고 있다.
다만 김 본부장은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한 발은 (TEL에서)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국방정보본부는 또 이동식 발사와 관련해 “발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탐지, 식별, 요격을 하는 데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고 보고했다.
이날 국감에선 국방과학연구소 주관으로 개발 중인 군 정찰위성(425사업)에 대한 내용도 보고됐다. 국방정보본부는 “425사업으로 정찰위성 5개를 갖추게 된다”며 “정찰위성이 2시간 주기로 돌게 되기 때문에 탐지·식별 능력이 증가되고 미국의 기술자산까지 도움을 받게 되면 최대한 30분까지 (탐지 주기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북한의 고도화되는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정찰자산을 확보하겠다는 의미다.
앞서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지난 4일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정의용 안보실장 발언에 대해 “북한이 TEL을 움직여서 바로 그것(미사일)을 쏜 게 아니라 고정식 발사대나 지지대 등을 사용해서 발사했다는 차원에서 답변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서훈 국정원장은 정보위 국감에서 “이동식 발사대에 ICBM을 싣고 일정한 지점에 가서 발사대를 다시 거치하고 거기에서 ICBM을 발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