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흥민(토트넘)이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4일(한국시간)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에버턴전에서 안드레 고메스의 발목 부상을 야기한 후 휴대폰도 끈 채 부모님 집으로 향했고, 아무도 만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토트넘은 손흥민의 트라우마 극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영국 미러는 5일 “토트넘이 손흥민의 정신적 충격에 대한 심리치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상시적으로 부상 위협에 노출된 선수들을 위해 해외 구단들에선 이처럼 심리적인 관리까지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상주하는 멘털 코치를 두기도 하고, 심리 상담을 운영하기도 한다. 독일·영국 등 다양한 리그를 경험한 이영표 KBS 해설위원은 5일 “뛰었던 팀들에 거의 상주하는 멘털 코치가 있었다”며 “큰 수술을 한 뒤 부상공포증이 생겼는데 상담에서 부상이 자연스러운 일이고 얼마든 회복할 수 있다는 얘기를 듣고 극복해낸 적도 있다”고 밝혔다.
K리그에서도 스포츠 심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7월부터 K리그1·2의 20개 구단 유소년팀(15세·18세) 총 350명의 선수들을 상대로 심리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전문 업체를 선정해 심리 검사와 스트레스 측정을 실시한 후 맞춤형 상담을 제공한다. 연맹 관계자는 “유소년 들의 균형 잡힌 성장을 위해 심리 부분이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20개 팀에 포함되지 않은 울산 현대와 인천 유나이티드는 2016년과 2017년부터 자체적인 유소년 심리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성인 팀으로 범위를 넓히면 얘기가 다르다. K리그1에 상주하는 멘털 코치를 둔 구단은 없다. 심리 상담을 운영하는 구단도 수원 삼성과 포항 스틸러스 뿐이다. 예산 문제도 있지만 ‘심리 치료’에 형성된 부정적인 인식이 원인이다. 프로선수이기에 심리 문제는 본인이 극복해내야 한다는 기대감과 심리 상담은 정신적 문제가 생겨야 받는 것이라는 인식이 해외와의 문화적 차이다.
하지만 선수들에겐 신체적 측면만큼 심리적 측면도 중요하다. 여자축구대표팀 등에서 멘털 코칭을 진행해온 윤영길 한국체대 사회체육학과 교수는 “신체와 심리 문제는 항상 동시에 발생하는데 심리 문제는 선수 개인이 해결하도록 두는 게 현재의 구조라 부상을 입을 두려움과 주전 경쟁에 대한 걱정을 토로하는 선수들이 현장에 많다”며 “심리적인 도움을 받아 부상에 낙관적인 태도를 유지할 경우 회복 기간이 짧아지는 유의미한 통계도 있다”고 밝혔다.
심리 상담을 운영하는 구단에선 만족도가 높다. 수원 관계자는 “구단에서 필요한 선수를 선정하거나 신청을 받아 사내 심리상담센터에서 상담을 진행한다”며 “꺼려하는 선수도 있었지만 경험한 선수들은 재활기간 단축이나 심리적 압박 극복에 도움이 됐다고 입을 모은다”고 밝혔다. 포항 관계자도 “올해 ‘플레이어 퍼스트’를 구단 가치로 정하면서 전문가 상담을 진행한 4명의 선수가 모두 ‘일반적인 조언과는 달랐다’며 도움이 됐다고 평했다”고 밝혔다.
상담 전문가의 공급이 충분치 않고, 심리 상담이 성과를 측정하기 힘든 부분은 심리 상담 활성화의 구조적인 문제다. 윤 교수는 “심리 상담을 원하는 구단도 많지만 축구에 대한 깊은 이해와 충분한 상담 커리어를 갖춘 전문가의 수가 적어 공급이 수요를 따르지 못한다”며 “예민한 심리 상담은 기록이 남는 것도 아니고 성과 측정도 어려워 구단에 자리잡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고 말했다.
최근 심리 상담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있다는 측면은 긍정적이다. 이 해설위원은 “최근엔 스포츠 심리를 공부하는 분들도 많아져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며 “심리적인 부분에 대한 관리가 확산된다면 선수들이 뛰는 환경이 더 나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동환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