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일본대사관 신축 사업이 착공조차 하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는 건 위안부 소녀상 때문이라는 게 ‘공공연한 비밀’이라는 일본 언론 주장이 나왔다. 옛 주한일본대사관은 2016년 철거됐으며 2020년까지 같은 부지에 새 건물을 완공하려 했으나 아직까지 아무런 진전도 없는 상태다. 결국 지난 3월에는 건축허가도 만료됐다.
사와다 가쓰미 마이니치신문 외신부장은 4일자 기명칼럼에서 가까운 미래에 일본대사관이 원래 부지로 돌아올 것이라고 내다보는 관계자는 없다고 주장했다. 일본 정부는 적절한 시기에 대사관을 짓는다는 계획에는 변화가 없다는 입장을 되풀이하고는 있지만 실제로는 이 문제를 방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옛 부지 인근에 위치한 평화의 소녀상이 옮겨갈 일은 상상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심지어 일본 외교관들 사이에서는 주한미군사령부 부지로 이전 가능성이 거론되는 미국대사관을 예로 들며 “미·일동맹의 관점에서도 새 미국대사관 옆에 짓는게 좋겠다”는 농담도 나오고 있다고 한다.
앞서 서울 종로구청은 지난 3월 주한 일본대사관에 건축허가 취소를 통보했다. 2015년 건축허가를 내준 지 4년만이다. 건축법상 건축허가가 나면 1년 이내에 착공해야 하며 별도의 연기 신청을 하지 않으면 허가 시점에서 2년 후에 취소될 수 있다. 종로구는 그간 일본대사관 측에 공사를 시작해달라고 수차례 요청했으나 대사관 측에서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주한 일본대사관은 2020년 완공을 목표로 종로구 율곡로 기존 부지에 지하 3층·지상 6층 규모의 새 대사관 건물을 짓기로 하고, 2015년 7월 인근 건물로 사무실을 임시 이전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