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지역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공공시설 2곳 중 1곳이 정기 점검으로 가동이 중단됐다. 해당 시설이 공동주택과 소형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전체 음식물 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처리하고 있던 터라 혼란이 예상된다.
5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환경공단이 운영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설 2곳(제1·2음식물 자원화 시설) 중 제2시설이 전날부터 8일까지 가동을 중단한다.
광주 지역에서 하루 평균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508t(지난해 기준)가량으로 가정, 소형음식점 등 공공 부분은 공공시설에서, 대형 음식점 등 민간 부분은 민간업체 2곳에서 처리하고 있다.
제2자원화 시설(서구 유덕)의 하루 최대 쓰레기 처리량은 300t으로 전체 수거량의 66%가량을 처리 중이다. 이런 상황에서 제2자원화 시설이 가동 중단되면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비상이 걸렸다.
광주시는 공사 기간 닷새간 2자원화 시설에서 처리하는 용량 중 40t 가량을 1자원화 시설에서 처리토록 했다. 또 민간시설 2곳에 각각 100t, 20t을 추가 반입하기로 했지만 수거·처리 지연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자치구 5곳은 주거 시설에 공문을 보내 음식물 쓰레기 배출 최소화를 당부하고, 수거량 조절도 검토 중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점검이 마무리 되는 대로 최대한 시설을 재가동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 전량 수거에 어려움이 따르는 만큼 보수 기간 동안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에 동참해달라”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의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시설들은 포화상태에 이르러 지난 7월 음식점이나 급식소와 같은 다량배출사업장의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민간업체들이 수거를 중단한 바 있다.
이홍근 인턴기자